고구려시대(高句麗時代) 48

고구려구의동유적유물토기(高句麗九宜洞遺蹟址土器遺物)

구의동(九宜洞)유적은 서울 광진구 구의동에 속하며 서울의 젖줄인 漢江邊의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낮은 구릉(해발53m) 정상에 위치하며 높은 편은 아니지만 주변 지역이 낮은 탓으로 주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주위에는 아차산성, 몽촌토성, 풍납토성, 석촌동..

고구려유물이해(高句麗遺物理解)

고구려의 冠帽에는 옛기록이니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모자로서 절풍(折風) · 책(幘) · 관(冠)등이 있습니다. 절풍은 고깔처럼 생겼는데 꼭대기에 새깃을 꽂거나 새깃모양의 금속제 장식을 단 것입니다. 책은 절풍보다 높은 신분을 가진 자가 쓴 것으로 뒷부분이 뾰족하게 솟은 것과 앞으로 휘어진 것..

고구려무덤유적(高句麗 古塚遺蹟)

고구려 고분은 몇 차례에 걸친 都邑의 변천에 따라 집안현 통구(輯安縣通溝)를 중심으로 한 압록강 중 . 상류 유역과 평양을 중심으로 한 대동강유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습니다. 고분은 대부분 강변의 낮은 대지에 이루어 지거나 산을 등지고 넓은 들을 앞에 낀 언덕위에 조성되었습니다. 고분은 墳丘..

高句麗 歷代 王 1代(東明聖王) ~ 7代 (次大王)

재위 서기전 37∼서기전 19 성은 고씨(高氏). 이름은 주몽(朱蒙) 또는 추모(鄒牟), 상해(象解), 추몽(鄒蒙), 중모(中牟), 중모(仲牟), 도모(都牟)라고 기록되어 전한다. 즉 《국사 國史》 고구려본기를 인용한 《삼국유사》 및 《삼국사기》에는 성이 고씨, 이름은 주몽이라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에는 ‘추모’ 또는 ‘상해’라는 이름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릉비와 모두루 묘지에서는 ‘추모왕’이라 하였다. 또 백제에서 시조로 모신 동명에 대하여 《신찬성씨록 新撰姓氏錄》 등 일본문헌에는 ‘도모(都慕:일본음 쓰모)’라고 하였다. 이들 일련의 한자(漢字)표기는 모두 동명을 다른 글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한편 중국문헌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