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감백자
상감백자는 백토로 빗은 그릇면에 시문구로 홈을 내듯 파서 문양을 그린 곳에 자토(紫土)로 메운다음
그위에 백자유약을 씌어 구워낸 것 입니다.
1. 아래 상감백자 대접은
고려 백자의 계통을 이은 작품으로 태토는 석고와 같은 질감이고 기벽(器壁)은 얇습니다.
유약에는 부드럽고 세밀한 빙렬(氷裂)이 있으며 얇게 입혀져 있어 고운 비단결 같은 질감을 줍니다.
대접의 생김새는 중국 명나라 초기(14세기)의 대접과 매우 닮았지만 상감 기법이나 유의 특징은 대단히 고려적이어서 오히려
14세기의 고려 백자 상감으로 생각될 정도입니다. 이런 류의 조선 초기 백자 상감들은 대개 유가 거칠고 상감 솜씨도 날림이 많으며,
굽도리의 마무리도 허술한 데 비해 이 대접은 아주 정제되어 있으며, 특히 굽다리는 비할데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명의 파편은 경기도 광주의 중요 관요터에서는 아직까지 발견된 예가 없고 대체로 지방의 가마에서 고려의 수법을 그대로
지켜가면서 새 양식을 소화하여 발전 시킨 예로 여겨집니다. 중앙 관요에서 만들어진 기명들은 바탕이 견치하며, 기형과 문양에 힘이
넘친다면 이들 지방 가마에서 만들어진 기명에서는 부드러운 질감의 바탕에 유연한 곡선의 변화가 있는 기형과 문양을 볼 수 있습니다.
문양의 선은 예리하면서도 부드러운 맛과 선비의 기품이 풍깁니다.
경상도 지방의 가마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백자 상감의 백미라 할 수 있습니다.
백자상감연당초문대접(白磁象嵌蓮唐草文鉢) 국보175호
한국(韓國)-조선(朝鮮) [15世紀] / 도자기-(白磁) 높이 7.6Cm, 입지름 17.5Cm, 바닥지름 6.2Cm / 국립중앙박물관
2. 조선초기(朝鮮初期) 상감백자류(象嵌白磁類)에는 유태(釉胎)나 문양(文樣) 등에서 고려백자(高麗白磁)의 여운(餘韻)을 느끼게 하는
계통(系統)과 원말명초(元末明初) 백자(白磁)의 영향(影響)을 받은 경질백자류(硬質白磁類)가 뚜렷이 구별(區別)되는데
이 병(甁)은 후자(後者)에 좋은 작례(作例)입니다. 문양(文樣)은 동체(胴體) 상하(上下)에 일조선(一條線)을 두르고 넓은 공간(空間)의
상대(相對)되는 두 곳에 수목(樹木)을 상감(象嵌)하였습니다. 문양은 다소 거칠게 표현(表現)되었는데, 먼저 윤곽선(輪廓線)을 두르고
안쪽에 분청사기(粉靑沙器)에 흔히 보이는 화판문(花瓣文)을 인화기법(印花技法)으로 시문(施文)하였습니다.
유(釉)는 실투성(失透性)으로 어두운 회백색(灰白色)을 띠며 비교적(比較的) 얇게 시유(施釉)되었고, 굽은 투박하게 깎았는데
높은 편으로 외경(外傾)되었으며 접지면(接地面) 및 굽안바닥은 로태(露胎)입니다.
접지면에는 검은 모래섞인 내화토(耐火土) 흔적(痕迹)이 남아있으며, 경부(頸部)이상은 수리(修理) 복원(復元)하였습니다.
백자상감수지문병(白磁象嵌樹枝文甁)(백자상감수지문병)
한국(韓國)-조선(朝鮮) [15世紀] / 도자기-(白磁) 높이30.6Cm 몸통지름18.8Cm 바닥지름9.6Cm /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백자(白磁)'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조선 철화백자<鐵畵白磁> (0) | 2007.03.26 |
---|---|
3. 조선 청화백자<靑華(畵)白磁> (0) | 2007.03.25 |
2. 조선 순백자(純白磁) (0) | 2007.03.25 |
조선 백자(朝鮮 白慈)와 用語 理解 (0) | 2007.03.25 |
朝鮮의 魂과 白磁器 (0) | 2007.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