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요 청자에서 보이는 각이 진 廣口의 口緣部에 움켜잡기 편하게 만든 長頸部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胴體部는 어깨부분에서 급격히 부풀었다가 서서히 좁아져 내려간 형태를 한 고려 전기의 전형적인 병으로 구연부는 수리되었습니다. 동체에는 세 곳에는 자유롭게 그린 草文이 철화로 施文되었으며, 문양대는 없습니다. 태토에는 모래 등의 잡물이 섞여 거칠며 유색은 연한 녹갈색의 청자유가 전면에 얇게 시유되었는데, 미세한 釉氷裂과 광택이 있습니다. 굽다리는 도톰하며, 안바닥을 얇게 깎아 세웠으며 露胎된 부분은 황토색으로 보이고, 모래 등의 받침자국이 군데군데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철화청자는 11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병은 초기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그제작지는 철화청자의 제작으로 유명한 해남 진산리 일대 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자철화초문광구병(靑磁鐵畵草文廣口甁)
高麗11世紀 後半/ 高 27 cm, 口徑8cm 底徑8cm /高麗大學校博物館 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항(靑磁缸) (0) | 2010.02.20 |
---|---|
청자철화초화문광구병(靑磁鐵畵草花文廣口甁) (0) | 2010.02.20 |
청자상감연꽃국화무늬탁잔(靑磁象嵌陰角蓮菊花文托盞) (0) | 2009.12.27 |
청자 상감 꽃 무늬 참외 모양 병(靑磁 象嵌 음刻 花文 瓜形 甁) (0) | 2009.12.27 |
청자양각도철문향로(靑磁陽刻饕餮文香爐) (0) | 200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