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외 모양의 몸체는 세로로 된 골을 내어 여덟 면으로 나누었고, 각 면마다 국화와 꽃을 한 줄기씩 교대로 음각과 상감하였습니다.
나팔꽃 모양의 입, 긴 목에 참외 모양의 몸, 주름문의 臺로 이루어진 특유의 모양은 '청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靑磁 象嵌 牡丹菊花文 瓜形 甁 국보 114호)'과 유사하지만, 선의 흐름이나 단아한 맛과 질이 미치지 못합니다.
청자 상감 꽃 무늬 참외 모양 병(靑磁 象嵌 陰刻 花文 瓜形 甁)
高麗時代(12世紀)/ 高 21.5 cm /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철화초문광구병(靑磁鐵畵草文廣口甁) (0) | 2010.02.20 |
---|---|
청자상감연꽃국화무늬탁잔(靑磁象嵌陰角蓮菊花文托盞) (0) | 2009.12.27 |
청자양각도철문향로(靑磁陽刻饕餮文香爐) (0) | 2009.12.27 |
청자음각연화문병(靑磁陰刻蓮花文甁) (0) | 2009.12.27 |
.청자음각죽통문병(靑磁陰刻竹筒文甁) (0) | 200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