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청자의 여운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매병으로 조선化가 뚜렷이 진행된 형태입니다. 동체는 上胴部에 비해 하부가 빈약합니다. 문양은 橫線文으로 三分하고 縱線文으로 肩部에는 S자형 花瓣文, 아래에는 瓣端이 뾰족한 重瓣의 蓮瓣文帶를 힘차게 彫花하였습니다. 중앙의 넓은 문양면에는 커다란 모란을 상향 또는 하향하게 세 곳에 배치하고 당초로 연결하였는데 힘찬 각선은 능숙합니다. 背地는 비교적 얇게 깎았으나 고운 분장의 문양과 잘 대비되어 있습니다. 胎土에는 砂粒이 포함되어 있고 옅은 회청색의 釉面에는 가는 빙렬이 보이며 굽 안바닥은 露胎로 접지면에 내화토를 받친 흔적이 있습니다.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매병(粉靑沙器剝地牡丹唐草文梅甁)
朝鮮 15世紀/高25.8cm, 口徑5.3cm, 底徑9.2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박지모란문병(粉靑沙器剝地牡丹文甁) (0) | 2010.01.12 |
---|---|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병(粉靑沙器剝地牡丹唐草文甁) (0) | 2010.01.12 |
분청사기인화문대접(粉靑沙器印花文鉢) (0) | 2010.01.12 |
분청사기상감수파어문편병(粉靑沙器象嵌水波魚文扁甁) (0) | 2010.01.11 |
분청사기상감당초문병(粉靑沙器象嵌唐草文甁 (0) | 201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