甁이나 항아리 등 器皿의 동체를 성형 후 두들겨 편평하게 만드는 기법은 통일신라시대이래 보이지만 이처럼 玉壺春形甁을 두들겨 만든 예는 조선시대에 비로소 등장합니다. 頸上部를 제외한 전면에 가득찬 문양은 數條의 橫線文으로 구획되어 있습니다. 肩部와 外底部에는 縱屬文으로 蓮瓣文帶를 상감하였으며, 胴體의 넓은 兩面에는 菱花形 窓內에 사실적으로 水波魚文을 表現하고 상대적으로 좁아진 兩側面에는 花瓣形의 水波文을 여백없이 배치하였습니다. 灰靑色의 釉는 일부 冰裂이 있으며 용용상태는 다소 불량한 편이고, 굽은 거칠게 깎아 투박하며, 굽 안 바닥은 얕은데 다진 흔적이 있습니다.
분청사기상감수파어문편병(粉靑沙器象嵌水波魚文扁甁
朝鮮 15世紀 前半/高28.5cm, 口徑5.8cm, 底徑9.0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매병(粉靑沙器剝地牡丹唐草文梅甁) (0) | 2010.01.12 |
---|---|
분청사기인화문대접(粉靑沙器印花文鉢) (0) | 2010.01.12 |
분청사기상감당초문병(粉靑沙器象嵌唐草文甁 (0) | 2010.01.11 |
분청사기상감어문장군(粉靑沙器象嵌魚文缶) (0) | 2010.01.11 |
분청사기연화상감당초문사이호(粉靑沙器蓮花象嵌唐草文四耳壺) (0) | 201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