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덧띠토기는 보령 교성리에서 출토된 것으로 구연부 바깥쪽에 단면이 둥근 점토띠를 덧붙인 것으로 인하여 덧띠토기라고 부르며,
이러한 토기 가운데에는 점토띠의 단면이 원형인 것과 삼각형인 것이 있으며 대체로 모양은 심발형(深鉢形)을 이루고 있습니다.
점토띠토기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원형점토띠토기에서 삼각형점토띠토기로 변천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지리적 분포범위도 한반도 충남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에서 점차 전남과 경남의 남해안 지방으로 옮겨가는 것이
확인됩니다. 점토띠토기는 세형동검문화와 함께 일본 큐슈지방으로까지 확대됩니다.
붉은간토기.덧띠토기(紅陶.粘土帶土器)
한국-청동기(靑銅期) / 保寧 校成里遺蹟 出土 / 높이 15.3cm / 국립부여박물관所藏
'선사(先史)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 그림이 새겨진 돌 (魚線刻石) (0) | 2009.03.04 |
---|---|
거친무늬 거울(粗文鏡) (0) | 2009.02.14 |
나팔모양동기(喇叭形銅器) (0) | 2009.02.11 |
대나무형동기(劍把形銅器) (0) | 2009.02.11 |
검은 긴목항아리(黑陶長頸壺) (0) | 2009.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