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口緣)은 폭이 넓은 전(顎)이 달려 광구(廣口)를 이루고 목은 세장(細長)하며, 동체는 원통형입니다.
문양은 없이, 광택이 있고 반투명한 암록색의 유(釉)가 전면에 곱게 시유(施釉)되었으며, 기벽면 일부와 저부(底部)에 유약이 뭉쳐 있지만 빙렬(氷裂)은 없습니다. 질이 좋은 태토에, 굽은 평저(平底)이나 바닥 중앙이 다소 오목하고 깎음새가 단정합니다. 바닥까지 시유한 뒤, 네 곳에 작은 규석(硅石)을 받쳐 번조(燔造)하였습니다. 이 병은 구연이 넓고 얇으며, 동체(胴體)의 어깨(肩)가 예리한 직각을 이루는 등 금속기에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징을 갖고 있지만, 이미 고려적인 세련을 보이는 단아한 모양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청자 광구병(靑磁 廣口甁)
한국(韓國)-고려(高麗) 12世紀 / 높이(高)14.0cm 입지름(口徑)6.8cm 밑지름(底徑)6.9cm / 湖巖美術館 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쌍사자모양 베개(靑磁雙獅子形 頭枕) (0) | 2008.12.30 |
---|---|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靑磁 桃形 硯滴) (0) | 2008.12.30 |
청자음각 연화문 매병(靑磁陰刻 蓮花文 梅甁) (0) | 2008.12.30 |
청자상감 연당초문 소호 (靑磁象嵌 蓮唐草文 小壺) (0) | 2008.12.30 |
청자상감 모란당초문 분합(靑磁象嵌 牡丹唐草文 粉盒) (0) | 200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