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적으로 세련되어 우아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12세기의 전형적인 매병형태를 보이는 작품이다. 문양은 가늘고 유려한 음각선을 사용하여 어깨 네 곳에 과장된 여의두문(如意頭文)을 대칭되게 배치하고, 동체 네곳에는 입화절지형(立花折枝形)의 연화문(蓮花文)을 형태를 조금씩 달리해 시문하였으며, 굽 언저리에 이중연판문대(二重蓮瓣文帶)와 뇌문대(雷文帶)를 배치하여 마무리하였다. 광택이 있고 투명한 담록색의 은은한 비색유가 얇고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빙렬이 일부있다. 굽은 안굽으로 얕게 깎아 내었고, 안바닥까지 시유한 뒤, 흙모래 비짐을 받쳐 번조하였다. 특히 이매병의 굽 안바닥에는'효문(孝文)'의 음각명이 있어 주목되는데, 이와 동일한 파편이 전북 부안군(扶安郡) 유천리(柳川里)에서 출토된 바 있으며, 이 명문(銘文) 이 장인(匠人)의 이름인지 작품주인의 이름인지는 확실치 않다. 풍성하면서도 기품이 넘치는 아름다운 기형, 맑은 시냇물같은 청초한 유색, 숨을 듯 곱게 새겨진 부드러운 음각문양 등이 완벽한 조화를 이룬 이 매병이야말로 엄중한 송대(宋代) 청자(靑磁)와는 판이한 경지의, 오로지 고려청자만이 이루었던 위대한 도자미(陶磁美)의 세계를 대표하는 명품이라 하겠다.
청자음각 연화문 매병(靑磁陰刻 蓮花文 梅甁)國寶 252 號
한국(韓國)-고려(高麗) 12世紀 / 높이(高)27.7cm 입지름(口徑)5.3cm 밑지름(底徑)10.6cm / 湖巖美術館 所藏.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靑磁 桃形 硯滴) (0) | 2008.12.30 |
---|---|
청자 광구병(靑磁 廣口甁) (0) | 2008.12.30 |
청자상감 연당초문 소호 (靑磁象嵌 蓮唐草文 小壺) (0) | 2008.12.30 |
청자상감 모란당초문 분합(靑磁象嵌 牡丹唐草文 粉盒) (0) | 2008.12.30 |
청자상감 모란당초문 대접(靑磁象嵌 牡丹唐草文 大楪) (0) | 200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