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금으로 만든 꾸미개 9쌍 (金製 裝身具類)

鄕香 2008. 1. 27. 19:03

 

1 . 가는 금선으로 매우 정교하고 화려하게 장식한 꾸미개입니다.

얇은 금판 위에 금선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문살무늬를 넣은 후 그 위에 또 금선을 둘렀고 누금 알갱이를 일정 간격으로 붙여 장식성을 더했으며, 금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새김눈무늬의 금선으로 당초무늬를 화려하게 넣었고,

네 귀퉁이에는 누금 알갱이로 꽃무늬를 다시 붙였습니다. 가장자리 부분의 안쪽 경계선은 얇은 금판을 잘라 마무리했으며,

그 위에 누금 알갱이를 다시 일정 간격으로 붙여 장식을 더 세밀하게 했습니다.
금판의 중앙에는 테가 있는 얇은 금선을 구부리고 겹쳐가며 아름다운 한 송이의 꽃을 형상화하여 금판에 붙였습니다.

 

 

금제 장신구(金製 裝身具)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 3.6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2 . 사실적이고 정교한 솜씨로 활짝 핀 연꽃을 위에 두고 연잎과 넝쿨을 꽃봉우리 모양으로 엮듯이 바탕을 두고 그 바탕 안 하단에 생동감 넘치는 물고기 한 마리를 입체감 있게 배치한 같은 모양의 한쌍으로 위치만 서로 상반되게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길상무늬인 물고기를 새김한 것은 가정의 평안, 부부의 금슬, 자손의 번성을 염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 2.8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3 . 변형된 마름모형 테두리 안에 박쥐무늬를 바탕으로 중앙에 날개를 활짝 펴고 날으는 새의 형상을 입체감 있게 돋을 새김하였습니다.

바쥐와 새는 상서로움이 깃든 의미를 가집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 2.4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4 . 여러 가닥의 금줄(金絲)로 서로 엮어  네개의 떡잎모양으로 구성하여 각각 4방위에 배치한 문양으로 한쌍을 만든 것입니다. 부부의 금슬과 장수(長壽)를 상징되게 한 것으로 추측합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 2.4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5 .  환(環)에 용무늬를 돋을 새김하였습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지름 (右)1.7cm (左)1.9cm/ 국립중앙박물관所藏

 

6 . 영기무늬를 같은 모양으로 반복하며 환(環)을 구성하였습니다. 영기와 고리 모두 상서로움의 의미를 가집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지름 (右)1.7cm (左)1.9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7 . 사실적이고 정교한 솜씨로 활짝 핀 연꽃을 위에 두고 연잎과 넝쿨을 타원형으로 엮듯이 바탕을 두고 그 바탕 안 연꽃 아래 생동감 넘치는 는 거북 한 마리를 입체감 있게 배치한 같은 모양의 한쌍으로 위치만 서로 상반되게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십장생의 하나인 거북을 새김한 것은 무병장수에 그 의미가 있습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2.2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8 . 영기(靈氣)무늬를 타원형 바탕으로 십장생을 의미하는 영기문과 한쌍의 학을 넣어 무병장수의 염원을 두었습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지름 (右)2.2cm (左)2.2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

 

9 . 사실적이고 정교한 솜씨로 활짝 핀 연꽃을 위에 두고 연잎과 넝쿨을 타원형으로 엮듯이 바탕을 두고 그 바탕 안 연꽃 아래 생동감 넘치는 는 원앙 한 마리를 입체감 있게 배치한 같은 모양의 한쌍으로 우측은 암컷 원앙을, 죄측은 수컷 원앙을 넣었습니다.  이와 같이 원앙을 새김한 것은 부부의 화목과 행복을 염원하는 것에 뜻을 두었습니다.

 

고려(高麗)《12-13세기》/ 금제(金製) 길이 (右)1.9cm (左)1.9cm / 국립중앙박물관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