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원삼국시대 토기.原三國時代 土器 (湖南地方)

鄕香 2007. 10. 27. 08:54

 

호남지방 원삼국시대의 토기는 영남지방의 경우에는 주로 무덤유적에서 출토되는데 비하여

조개무덤유적이나 집터유적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그 양상은 해남 군곡리 조개더미유적에서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크게 경질무문토기와 두드림무늬토기로 분류됩니다.

경질무문토기는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에 비해 경도가 높고 토기의 형태도 매우 다양하며 특히

소형의 토기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그릇의 안팎면을 정면하는데에는 빗질사용이 유행하였습니다.

타날무늬토기는 경도에 따라 연질계와 경질계로,

색조에서는 소성방법의 차이에 의해 산화염(酸化焰)의 적갈색계와 還元焰의 회색계로 나뉘어집니다.

 

注口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27.2cm (國立光州博物館)

 

直口壺

海南 郡谷里貝塚.高 33.5cm (木浦大學校)

 

深鉢形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30.8cm (木浦大學校)

 

卵形甕 

海南 郡谷里貝塚.高 53.8cm (木浦大學校)

 

 

長胴甕 

海南 郡谷里貝塚.高 36.2 cm (木浦大學校) 

 

鉢形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cm (木浦大學校) 

 

 

鉢形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12.7cm (木浦大學校)

 

有蓋盌 

海南 郡谷里貝塚.高 12.7cm (木浦大學校)

 

高杯 

海南 郡谷里貝塚.高 10.4 cm (國立光州博物館)

 

臺附角形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cm (木浦大學校)

 

臺附角形土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7.4cm (木浦大學校)

 

小形臺附長頸壺 

海南 郡谷里貝塚.高 7.4cm (木浦大學校)

 

 勺子.甑.臺附壺(明器)

海南 郡谷里貝塚.高 7.4cm (木浦大學校)

 

 陶枕.內拍子

海南 郡谷里貝塚.高(左)4.7 cm (木浦大學校)

 

 長胴甕 

昇州 大谷里住居址.高 39.7 cm ( 國立光州博物館)

 

 

土管

昇州 大谷里住居址.高 54.1 cm ( 國立光州博物館) 

 

 

 內拍子

昇州 大谷里住居址.高 9.1 cm ( 國立光州博物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