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에밀레종 또는 봉덕사종(奉德寺鍾)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이 종은 신라 제35대 왕인 경덕왕이 돌아가신 아버지 성덕대왕을 위하여 구리 12만근을 들여 만들다가 실패하여 그 아들인 혜공왕 7년(771년)에 완성된 것이지요.
처음에는 성덕대왕의 원찰(願刹)인 봉덕사에 걸려 있었는데, 그 뒤 영묘사 · 경주 읍성의 남문 · 동부동의 옛 박물관을 거쳐 1975년 지금의 경주박물관내 뜨락 한편 종각안에 옮겨졌습니다.
종의 꼭대기에는 우리나라 종만이 갖고 있는 용의 형태로 된 고리 즉 용뉴(龍뉴)와 음통(音筒)이 있으며, 몸에는 위로부터 보상당초무늬를 새긴 윗띠와 연꽃으로 장식된 4개의 유곽(乳廓)·무릎을 꿇은채 날아 내려오는 4개의 공양천인상(供養天人像) 2개의 연꽃 모양의 당좌(撞座)·보상당초무늬와 연꽃으로 이루어진 아래띠가 양각되어 있습니다.
또한 모두 1,037자의 글이 대칭으로 새겨져 있어 이 종의 이름이 '성덕대왕신종'이라는 것과 이 종소리를 들으면 백성들이 괴로움 속에서 벗어나고 복을 받게 되며 진리를 깨달아 그 공덕으로 아버지인 성덕대왕이 극락에 편히 게시게 된다는 것과 이 종을 만든 주종대박사(鑄鍾大博士)는 대나마(大奈麻) 벼슬의 박○○이고, 이 글은 김필해(金弼奚)가 지은 사실 등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30여 년이나 걸려 만든 이 종은 무게가 18.9톤이나 되는데 오늘날에도 이와 같은 규모의 종을 주조하기는 무척 어려운 바, 당시의 수준 높은 주조기술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지요. 우아한 형태·화려한 양식·아름답고 여운이 긴 소리 등은다른 종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종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입니다.
30여 년이나 걸려 만든 이 종은 무게가 18.9톤이나 되는데 오늘날에도 이와 같은 규모의 종을 주조하기는 무척 어려운 바, 당시의 수준 높은 주조기술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지요. 우아한 형태·화려한 양식·아름답고 여운이 긴 소리 등은다른 종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우리나라의 종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입니다.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성덕대왕신종/봉덕사종(奉德寺鍾)) 국보(國寶)
한국 (統一新羅) /금속(金屬) 동합금제(銅合金製)/지름 : 223.6 cm /전체높이 369.5 cm /뉴높이 66.5 cm / 두께 25cm / 출토지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소장기관 국립1(國立1) / 경주(慶州)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佛畵 . 佛像 . 鐘 . 佛具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구(益山 王宮里5層石塔舍利具 ) (0) | 2008.01.13 |
---|---|
계유명 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 阿彌陀三尊佛 碑像) (0) | 2007.10.27 |
금동일월식관반가사유상 (金銅日月飾冠半跏思惟像) 78호 (0) | 2007.07.22 |
금동삼산관반가사유상 (金銅三山冠半跏思惟像) 국보83호 (0) | 2007.07.21 |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불(靈山會相圖) 靈鷲寺 (0) | 2007.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