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사기 / 三國史記 』
'삼국사기'의 백제 건국 始祖에 있어서 비류沸流와 온조溫祚의 출생에 대해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견해를 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그들이 고구려의 시조 추모(주몽)의 친자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그들이 주몽의 양자라는 것입니다.
'삼국사기'의 기록은 온조와 비류가 주몽의 친자라는 것을 내세우면서도 다음과 같이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로 인하여 백제 건국에 대하여 학자들이 보는 견해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기에 우선 삼국사기의 본문을 보기로 하겠습니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이 백제시조라고 기록된 글>
백제의 시조는 온조왕인데 그의 아버지는 추모 또는 주몽이라 한다.
주몽이 북부여로부터 박해를 피해 졸본부여에 이르렀다. 당시 졸본부여 왕은 딸만 세 명 있었는데,
아들이 없어 걱정이 많던 차에 주몽의 인물됨이 비범하고 남다름을 보고 둘째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다.
그 뒤 얼마 되지 않아 졸본의 부여 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
주몽은 두 아들을 낳았는데, 큰아들은 비류라 하고 둘째 아들은 온조라 하였다.
(혹은 주몽이 졸본에 와서 건너편 고을(예맥)의 여자를 취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고도 한다).
그런데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이 와서 태자가 되었다.
그러자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하여 마침내 오간 . 마려 등 열 명의 신하와 함께 남쪽으로 이동했는데
뒤따라오는 백성이 많았다.
드디어 한산에 이르러 부아악에 올라 살만한 곳을 바라보고 있는데 비류는 해변에 살기를 원했다.
열 명의 신하들이 말하기를 “이 하남의 땅은 북쪽으로는 한수를 끼고 동쪽으로는 높은 산들이 많으며 남쪽으로는 비옥한
땅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큰 바다를 끼고 있어 천험의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으니 여기에 도읍하는 것이 좋겠습니다.”하였다.
그러나 비류는 신하들의 말을 듣지 않고 따라온 백성들을 나누어 미추홀로 가서 살았다.
이에 온조는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들을 보필로 삼아 나라 이름을 십제(十濟)라 하니,
이때가 중국의 전한(前漢)시대 성제(成帝)가 왕위에 오른 홍가(鴻嘉)3년(기원전 18년)이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살기 힘들어 온조가 사는 곳을 보니 도읍이 안정되고 백성이 편안한지라 참회하다가 죽었다.
이에 미추홀에 있던 무리들이 모두 온조가 있는 위례로 모여 들었다. 미추홀의 많은 백성들이 모두 즐겁게 따라 왔으므로
뒤에 나라 이름을 백제(百濟)라고 고쳤다. 그의 세계(世系)가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나왔기 때문에 부여를 성씨로 삼았다.>>
이와 같이 삼국사기는 백제 역사를 시작하면서부터 그 시조가 온조왕이라고 기록했습니다.
고려시대 스님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에도 백제의 시조가 온조왕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온조왕을 중심으로 하는 건국설화라고 합니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아우였던 온조가 아니라 형인 비류가 건국시조라는 앞뒤가 잘 맞지 않는 기록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럼 비류가 백제의 시조라는 건국설화의 내용을 그대로 보기로 하겠습니다.
<< ‘삼국사기‘에 비류가 백제시조라고 추가된 글>>
시조는 비류왕이다. 아버지는 우태로 북부여 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이다.
어머니는 (소서노(召西奴)로 졸본 사람 연타발(延陀勃)의 딸이다.
소서노는 처음에 우태에게 시집가서 두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가 비류이고 둘째가 온조다.
우태가 죽자 그녀는 졸본으로 돌아와 혼자 살았다.
주몽이 부여에서 쫓겨나 전한시대 건소(建昭)2년(기원전 37년)봄에 남쪽으로 내려와 졸본에 이르렀는데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워 고구려라 하였다. 이어 주몽은 소서노를 아내로 맞아 왕비로 삼았다.
소서노는 주몽이 나라를 세울 때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에 주몽은 그녀를 애지중지하여 후하게 대했으며, 비류와 온조도 친자식처럼 잘해 주었다.
그러나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禮氏)에게서 난 아들 유류(孺留:유리)가 오자 그를 태자로 세우고 드디어 왕위를 잇게 하였다.
이에 비류가 온조에게 말하기를 “처음에는 대왕이 부여에서 난을 피하여 여기로 도망하여 오자 우리 어머니께서
가산을 털어서 나라를 세울 때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런데 대왕이 세상을 떠나자 나라는 유류의 것이 되었으니 우리는 한낱 여기에 붙어있는 혹과 같은 존재가 되었으니
답답할 뿐이다. 차라리 어머니를 모시고 남쪽으로 가서 좋은 땅을 택하여 나라를 세우는 것이 좋겠다.”하고 드디어
아우와 함께 무리를 거느리고 패수와 대수라는 두강을 건너 미추홀에 가서 살았다.
이 기록은 처음부터 백제의 시조가 비류왕이라고 못 박으면서 백제 건국과 관련된 내용을 전합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역사서 중 삼국시대와 관련된 내용이 가장 신뢰할만하다고 하는 ‘삼국사기’에도 백제의 건국시조가
두 가지로 기록되어 있어 아직까지도 많은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건국 위치에 있어서도 기존의 한반도 설에 반해 중국 대륙의 산동반도에서 건국하여 한반도까지 확대되었으며
대륙의 낙랑군<한반도에는 낙랑국(또는 동예)이 있었음>의 끝없는 침략으로 도읍지를 지금의 하남으로 이동하였다는
학설이 대두되어 고대사의 정립이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할 일입니다.
이에 여기서 백제의 시조 온조와 비류의 출신과 시조에 있어서 한낱 망명객에 불과한 주몽이 어느 날 갑자기
졸본부여의 부마가 되고 다시 왕위를 이어 받는다는 내용보다는 과부 소서노를 통해서 졸본의 유력가 연타취발의 후광을
입게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고구려를 건국한다는 내용이 훨씬 구체적이고 설득력이 있습니다.
따라서 비류와 온조는 북부여(또는 동부여라고도 기록되어 있음) 왕 해부루의 서손인 '우태'와 졸본부여의
연타취발의 둘째 딸 '서소노'사이의 출생으로 비류와 온조에 의하여 건국 되었다고 보아야 겠습니다.
앞에서 말한 건국지역에 관해서도 한반도가 아닌 중국대륙과 산동반도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까지 확장되어
제26대 성왕(392년)때 까지 대륙백제가 존속되었다가 고구려와의 폐수 싸움에져 대륙백제 땅은 고구려에 병합되었다고도
말합니다.
한반도에서는 성왕이 고구려에 잃었던 한성을 되찾고 가야.신라와 연합하여 평양까지 밀고 올라 가는등 전과를 올렸으나
돌궐의 침략을 평정한 고구려가 재 정비하고 예족(동예.한반도 낙랑국)을 앞세워 반격을 하자 신라가 배반하여
고구려와 손을 잡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 백제 땅을 차지하였습니다.
궁지에 몰린 성왕은 자신의 딸을 신라에 시집보내는 등 굴욕적인 조치로 신라의 공격을 누그러뜨려으며,
이후 복수를 위해 왜에 지원을 요청하고 왜의 수군이 도착하자 가야와 함께 신라를 공격했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관산성(충북 옥천) 전투에서 태자 창(위덕왕)을 위로하기 위해 보병과 기병50명만 이끌고 밤길을 가다
신라의 기습으로 포로가 되어 급기야는 참수되어 그목은 신라 북청의 계단아래 묻히고 몸체만 돌아오는 허망한 결말을 보게
되었습니다.
'백제시대(百濟時代) > 백제역대왕사(百濟歷代王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濟歷代王 25대 무녕왕(武寧王)~31대 의자왕(義慈王) (0) | 2007.06.22 |
---|---|
百濟歷代王 17대 아신왕(阿莘王)~24대 동성왕(東城王) (0) | 2007.06.22 |
百濟歷代王 9代 책계왕(責稽王) ~16代 진사왕(辰斯王) (0) | 2007.06.16 |
百濟歷代王 제1代 온조왕(溫祚王)~제8代 고이왕(古爾王) (0) | 200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