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銅畵)기법이란 구리가 주성분인 안료로 무늬를 그린 후, 유약을 입혀 구워서 붉은 색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상감기법과 함께 고려 장인들에 의해 다른 나라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며, 이 기법을 쓴 동화청자는 전라북도 부안군 유천리에서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소합은 작은 원통형으로 입지름에 비해 높이가 높아서 사리(舍利)를 담는 그릇으로 쓰였을 수 있습니다.
뚜껑 윗면과 옆면의 만나는 모서리와 몸통의 맨 아래 부분은 모를 죽여 처리하였고, 뚜껑 윗면에는 동채점(銅彩點)을 찍은 국화무늬가 있고, 그 주위와 몸통에는 동채점을 찍은 여러 줄의 구슬무늬대가 백상감되었으며, 유약은 회청색이며 바닥은 편평합니다.
청자 국화 무늬 작은 합(靑磁象嵌菊花文銅彩小盒)
韓國 - 高麗 《13世紀》/ 高 3 cm 口徑 2.7 cm 底徑 2.8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 |
||
![]() |
||
![]() |
||
![]() |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상감 새 대나무 무늬 매병(靑磁 象嵌 鳥竹文 梅甁) (0) | 2007.06.07 |
---|---|
청자상감매죽학문매병(靑磁 象嵌 梅竹鶴文 梅甁) (0) | 2007.06.06 |
청자 칠보 무늬 향로(靑磁 透刻 七寶文 香爐) (0) | 2007.06.02 |
고려 청자 주전자들 (高麗靑磁 注子) (0) | 2007.06.02 |
고려 청자 정병 3점 (高麗靑磁 淨甁) (0) | 200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