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호랑이 그림은 정초(正初)에 벽사용(辟邪用)으로 대문이나 벽에 붙이는 민화(民畵)가 유명하지만, 김홍도가 그린 이 작품은 감상용으로 제작된 것같다. 화면 위쪽에 굵은 소나무 둥치와 가는 가지를 그려 넣어, 화폭을 가득 채운 호랑이의 위엄 있는 모습을 강조하는 동시에, 여백을 적당히 메우는 공간 활용이 절묘하다. 천천히 걷다가 갑자기 앞을 향해 머리를 돌린 호랑이의 자세는 조선시대 다른 맹호도와 비슷한데, 이런 형식의 맹호도가 하나의 도상(圖像)으로서 유행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화면 오른쪽 위에 "표암화송(豹菴畵松)"이라는 글귀가 있어 소나무 부분은 표암 강세황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단원의 재능을 무척 아끼고 후원했던 표암이 단원과는 나이와 신분을 무시한 친구 사이라고 했던 것을 보면, 이러한 합작(合作)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보이지만 소나무를 그린 화법에 단원 화풍이 완연하여 표암의 솜씨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朝鮮 18世紀/金弘道 畵虎, 姜世晃 畵松/絹本水墨淡彩/90.4×43.8cm/湖巖美術館 所藏
<강세황 筆 소나무 細部 그림>
<김홍도 筆 호랑이 細部 그림>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래부사접왜사도 (東萊府使接倭使圖) (0) | 2007.06.02 |
---|---|
석창 홍세섭 필 유압도(石窓洪世燮筆遊鴨圖) (0) | 2007.05.28 |
일재 신한평 필 화조도 (逸齋申漢枰筆花鳥圖) (0) | 2007.05.28 |
기사계첩 경현당석연도(金振汝·朴東普·張得萬·許淑 筆 耆社契帖 景賢堂錫宴圖) (0) | 2007.05.25 |
수원능행도 8곡병 (水原陵幸圖 八曲屛)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