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능행도병(華城陵幸圖屛)은 정조대왕이 1796년 생부(生父) 사도세자(思悼世子 : 章獻世子)와 생모(生母)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의 동년(同年) 회갑(回甲)을 맞이하여 사도세자의 현륭원(顯隆園)이 있는 화성(華城:水原)으로 혜경궁을 모시고 행차한 뒤 성대한 잔치를 열면서 거행했던 일련의 행사들를 8폭에 담은 기록화입니다. 조선시대 행사 기록화 중에서 가장풍부한 내용으로 화려하고 장대하게 묘사한 뛰어난 작품으로서 정조의 지극한 효성과 정조시대의 난만한 회화 발달이 어울어져 만들어진 걸작입니다.
이 <화성능행도병>은 행사가 끝난 뒤 행사를 주관했던 정리소(整理所)에서 1796년에 완성한 계병(稧屛)이며, 김홍도(金弘道), 이인문(李寅文), 김득신(金得臣), 김득현(金得賢) 등 많은 화원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본디 행사가 끝난 뒤 정조가 정리소에 명하여 행사의 내용을 묘사한 도설(圖說)을 제작하고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의 머리에 첨가하도록 지시하였는데, 이 도설작업은 윤2월 28일 의궤청의 건의로 이해 1월 연풍현감에서파직된 김홍도가 주관자(主管者 : '專管'者)로 임명되어그의 지휘 아래 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의궤의 도설을 병풍에 맞게 변형시키고 확대하여 묘사한 정리소 발의의 이 계병은 김홍도가 관여했거나 최소한 김홍도의 화풍이 부분적으로나마 직접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화성능행도병>은 넓은 의미에서 김홍도 등의 집단 제작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이 <화성능행도>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궁중유물전시관, 호암미술관에 동일한 내용의 8폭병이 소장되어 있고, 이 이외에 낱폭으로 전해지는 것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그림들은 크기와 순서, 도상, 묘법, 채색 등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그 제작연대의 편년과 작가의 비정, 8폭의 순서배치 문제가 아직도 미완의 연구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8폭의 순서 문제는 행사일정과 의궤도설의 순서 및 세 벌의 순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떤 원형의 순서를 눈중하여 확정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조선시대 기록화 병풍은 반드시 그 행사 내용을 기록화 병풍은 묵서(墨書)가 포함되는 것이 상례인데, 이 <화성능행도병>은 묵서가 없다는 점이 아직 의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호암미술관 소장본은 고식의 양식을 보일 뿐만 아니라 화면상태도 좋고 근세에 개조되지 않은 조선표구 그대로이며 일반에는 처음 공개되는 것입니다. (1995년 김홍도 탄신250주년 기념 특별전시) 특히 원상태를 유지한 이 병풍은 8폭의 순서에 나름대로 하나의 질서가 있어 주목됩니다.
이 작품은 수원능행도 8곡병 중의 한 장면인 환어행렬도(還御行列圖)인데, 앞의 능행도와는 세부묘사나 설채에 다소 차이가 있어,
작가가 다른 8곡병에서 분리되어 나온 것 같습니다.
이 장면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을 성묘하고, 혜경궁에게 진찬례(進饌禮)를 올린 다음 화성(華城)에서의 모든 행사 일정을 끝마치고 화성을 출발하여 한양으로 향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6000여 명의 인원과 1400여 필의말이 동원된 대규모 행렬을
지그재그로 늘어놓아 한화면에서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한 화면 구성이 압도적입니다.
또한 화면 윗부분으로 갈수록 인물이 작아지고 길도 좁아져 결국 행렬의 끝이 희미해지는 원근법적 묘사는 다른 예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뛰어나다. 인물, 수목, 산수 배경의 세부 묘사가 어느것 하나 소홀함이 없이 정교한데,
특히 단원 김홍도등 18세기 말 조선 화단에서 유행하던 화풍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어, 일반적인 기록화의 정형화된 성격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주는 빼어난 작품입니다.
환어행렬도 (還御行列圖)
朝鮮 18世紀 末 / 作者未詳 / 絹本彩色 156.5×65.3cm /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계첩 경현당석연도(金振汝·朴東普·張得萬·許淑 筆 耆社契帖 景賢堂錫宴圖) (0) | 2007.05.25 |
---|---|
수원능행도 8곡병 (水原陵幸圖 八曲屛) (0) | 2007.05.25 |
소림 조석진 필 이노군도(小琳趙錫晋筆李老君圖 ) (0) | 2007.05.25 |
화산관 이명기필 초당초옥도(華山館 李命基筆草堂讀書圖 ) (0) | 2007.05.25 |
소당 이제관 필 오수도(小塘李在寬筆午睡圖 )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