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태항아리 . 외항 . 내항 . 태지석(白磁胎缸 . 外缸.內缸.胎誌石) 뭉툭하게 外反된 口緣이 달려있고 器形은 肩部에서 벌어졌다 서서히 좁아진 長身의 항아리로 어께 네 군데에 둥근 고리가 달려있습니다. 또한 뚜껑에는 네 개의 구멍이 뚫린 蓮峯形의 손잡이 꼭지가 달려 있고, 이 꼭지를 중심으로 放射形으로 8개의 선을 굵게 음각하고 뚜껑의 끝부분에서 다시 삼각..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2.22
청화백자동화도형연적(靑華白磁銅畵桃形 硯滴) 복숭아가지를 또아리모양으로 만들고 그 위에 天桃를 얹은 형상입니다. 注口는 작은 가지 하나를 위로 올렸으며 몸체 양옆에는 잎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天桃의 일부와 나무가지에는 酸化銅顔料로, 잎사귀는 코발트顔料로 設彩하였는데 이렇게 코발트에 산화동을 곁들여 사용하는 設彩..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2
청화백자운용산수문연갑(靑華白磁雲龍山水文硯匣) 朝鮮朝 文房具는 18세기 이후그 종류가 많아지고 특이한 세련을 보입니다 19세기에 이르면 다종다양하고 각양각색의 문방구가 제작 사용되어 마치 온갖 꽃이 들녘에 가득 핀 것과 같은 盛觀을 이룹니다. 그러한 중에서도 이 硯匣은 아주 희귀한 존재로 異色的이며 누구도 생각지 못했던 ..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1
청화백자모란절지문합(靑華白磁牡丹折枝文盒) 分院期에 속하는 대형합으로 뚜껑은 상면이 평평하며 그 주위에는 二條의 突帶線을 둘렀고 身部는 분원기의 大接類와 유사한 器線을 보이고 있습니다. 蓋의 上面에는 '福'字文을 중앙 돌대 안에 넣고, 蓋와 身部의 外側面에는 同樣의 牡丹折枝文을 배치하였느데 靑華의 發色이 곱고 명..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1
청화백자모란당초어문푼주(靑華白磁牡丹唐草魚文푼주) 전형적인 分院期의 푼주로 器璧이 상당히 두꺼우며 같은 종류의 푼주와 비교해 보면 底徑이 口徑에 비해 좁은 편입니다. 문양은 내저와 외측면에 있는데, 이러한 文樣布置는 분원기의 大接類에서 많이 보이는 공식화된 전례의 하나이다. 內底에는 커다란 魚文을, 外側面에는 변형된 모..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1
청화백자장생문푼주(靑華白磁長生文푼주) 口徑에 비해 높이가 낮아 몸체가 옆으로 벌어진 푼주로서 정형화된 측면선의흐름과 안바닥을 깊게 깎은 굽에서 分院期의 특징을보이고 있습니다. 外面에는 山 . 神龜 . 鹿 . 芝草 . 松 . 鶴 . 雲 등의 十長生과 흔히 함께 등장하는 竹文이 옆으로 펼쳐지듯 전개되어 있으며, 內底에는 중앙..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1
.청화백자편복문푼주(靑華白磁蝙蝠文푼주) 口部는 流麗한 曲線을 이루며 살짝 외반되어 있고 胴體는 풍만한 曲面을 이루며 굽에 이르고 있습니다. 외면에는 蝙蝠文이 三段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內底 중앙에는 커다란 '福'字가 씌어 있는데 발색이 안정되어 있습니다. 釉는 담청백색으로 기포는 많지만 熔融상태가 적절하.. 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 백자(白磁) 201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