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外國) 504

청자각화모란문반(靑磁刻花牡丹文盤)

밖으로 둥글게 말려내린 口緣을 둔 접시 모양의 皿입니다. 안 바닥에 牡丹折枝葉文을 片切彫의 수법으로 유려하고 생동감있게 시문하였습니다. 釉는 濃淡이 고루며 총체적으로 굽다리와 안바닥까지 施釉되었습니다. 청자각화모란문반(靑磁刻花牡丹文盤) 北宋時代 11-12世紀 /耀州窯/高3.7cm ,口徑18.9cm,..

청자각화모란당초문병(靑磁刻花牡丹唐草文甁)

肩上部 頸緣바탕에 三圓階層을 마련하고 肩部 중앙과 胴下部에 같은 모양으로 鋸齒狀의 花瓣文을 돌려 시문하고 그 사이 肩下部와 胴體에 걸쳐 牡丹花文을 중심에 두고 葉文으로 감싸 돌려 片切彫으로 施文하였습니다. 정연하고 안정된 문양과 당당한 기품의 造形, 투명하고 발색이 고운 綠靑의 釉가 全面에 고루 시유되었습니다. 바닥 안쪽을 둥굴게 깎아내어 테두리 모양의 굽을 두었습니다. 북송시대 요주窯 청자의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청자각화모란당초문병(靑磁刻花牡丹唐草文甁) 北宋時代 11-12世紀 /耀州窯/高16.7cm ,徑17.3cm /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日本 重要文化財)

청자각화보상화당초문수주(靑磁劃花寶相華唐草文水注)

긴목에 긴 胴體를 한 주전자입니다. 구연이 살짝 外反된 筒形의 頸部에 10개의 陰刻圓帶를 돌린 頸上部 口緣과 음각선의 새무늬를 표현한 肩部에 걸쳐 2本의 紐을 합친 모양의 無文의 帶를 구부려 붙여 把手를 만들었고 상반된 견부에 注口를 마련하였으며, 胴體 全面에는 寶相華唐草文을 힘찬 양각으로 시문하였습니다. 굽은 외반되고 釉는 黃綠色으로 全體에 고루 施釉되었습니다. 전체적인 裝飾法은 耀州窯에서 五代時代에 성행하던 기법으로 보입니다. 청자각화보상화당초문수주(靑磁劃花寶相華唐草文水注) 11世紀 北宋時代/耀州窯/高22.9cm,徑16.5cm / 샌프란시스코아시아미술관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

청자각화모란문봉황구수주(靑磁劃花牡丹文鳳凰口水注)

Cleveland Museum of Art.所藏의 청자각화화변문사자구수주(靑磁劃花蓮弁文獅子口水注)와 同形으로써 東窯의 전형을 갖춘 작품입니다. 둥근 胴體에 浮彫로 힘찬 牡丹文을 큼직하고 입체감 있게 새긴 것이 특징적입니다. 肩部에는 荷葉形의 蓮瓣文이 돌려졌으며, 注口는 鳳首形으로 조성하여 雙으로 붙였습니다. 주구와 상반된 곳에 손잡이를 대통 모양의 水口와 肩部에 걸쳐 구부려 붙였습니다. 下部에는 花葉弁文을 돌린 아래 다소 높고 外反된 굽을 두었으며 釉는 투명하고 全面에 고루 시유되었으며 굽 안바닥에도 施釉하였습니다. 陜西省銅川市黃堡鎭窯(耀州窯)址에서 같은 類品이 출토되었으며, 五代-북송초기의 작품으로 보입니다. 청자각화모란문봉황구수주(靑磁劃花牡丹文鳳凰口水注) 五代-北宋時代 .10世紀/耀州窯/高20.5cm..

청자각화화변문사자구수주(靑磁劃花蓮弁文獅子口水注)

바탕 면을 깊이있는 偏刻으로 큰 唐草文을 浮彫시켜 上半肩部에 施文하였고, 胴下部에는 6面을 구획하고 花弁文을 各 구획마다 浮彫技法으로 시문하였습니다. 注口는 입을 벌리고 앉아 있는 사자의 형상으로 만들어 붙였고, 그 相反된 곳에 상면에 새 모양을 양각으로 새긴 직사각으로 이루어진 띠 ..

청자각화연변문호(靑磁劃花蓮弁文壺)

定州靜志寺塔 밑 구덩이에서 발견된 靑磁蓮弁文盤은 耀州窯의 발달에 따른 越州窯 靑磁와 관계가 깊은 중요한 자료입니다. 화북의 북송초기의 墓葬의 副葬品으로, 요주요系 청자와 월주요청자가 共伴된 점이 많이 보입니다. 월주요청자의 양식은 요주요청자의 양식에 그 영향이 있음을 이견이 없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