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의 뿌리 廣平大君

나의 뿌리 崇祖 광평대군(廣平大君)

鄕香 2006. 6. 17. 10:16

 

이 묘역 일원은 서울 근교에서 현존하는 조선의 왕손 묘역 중 원형(原形)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곳으로, 총면적 413,300㎡의 산에 세종대왕의 5째 왕자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묘를 비롯한 태고조 황제(太祖高皇帝)의 제7남이신 무안대군(撫安大君) 방번(芳蕃)의 묘소와 종문(宗門) 700여(餘)기(基)의 묘소가 있고, 신도비(神道碑), 사당(祀堂)과 재실(齋室), 종회당(宗會堂), 종가(宗家) 등이 있는 문중묘역이다.
崇祖 광평대군(廣平大君) 贈 諡 장의공(章懿公) 휘(諱) 여(璵)께서는 세종(世宗) 7년(1425)에 다섯 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시어 세종 14년(1432)에 광평대군으로 봉작(卦爵)되셨으며, 특히 세종대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세종 26년(1444)에 젊은 나이로 서거하셨다. 초장지(初葬地) 학당리(지금의 강남구(江南區) 삼성동(三成洞))에서 연산(燕山) 원년(元年 1495)에 현재의 자리로 이장되었다. 광평대군의 아드님 영순군(永順君)의 묘소를 광주군 이을언리 수토산 現 강남구 수서동 광수산(光秀山)에 모시고 그 산 아래 영순군의 아드님 남천군(南川君), 청안군(淸安君), 회원군(會原君) 삼형제의 집을 지어 3궁(三宮)이라 일컬었으며 이때부터 이 마을을 '궁말'이라 불렀다.  이곳은 광평대군 후손(後孫)의 근원지가 되었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묘역에는 신도비를 비롯하여 묘비와 석조물(石造物)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숙종21년(1695년)에 10㔺 후손(後孫) 유(濡)가 건립한 세장기비(世葬記碑)는 당시에 조사한 각 묘소의 소재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기록한 참으로 드문 귀중한 문화재라고 문화재 지정문은 밝히고 있다 이 묘역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 48호 광평대군묘역』

정문 좌측으로 소슬대문 형식으로 문화재 안내판이 있고 그 옆에 맞배지붕의 외삼문(宮村別廟)이 나란히 보인다. 

 

 

『 광평대군 묘역/廣平大君 墓域〈 外三門  "宮村別廟』 

 

 

〈광평대군 묘역 안내도〉

 

 

〈정문 / 定門〉

이 정문 좌측에는 「全州李氏廣平大君派宗會」라는 녹색의 동판이 있고 우측에는 英陵奉香會 와 貞陵奉香會라는 동판에 새긴 녹색 간판이 나란히 걸려 있다.  이 문을 들어서면 종친회 사무실(안쪽 보이는 건물)이 있고 

왼쪽으로 재실(崇慕齋)이 있다. 

 

 

정문에서 바라본 정경, 우측 건물은 광평대군파종회 종무실, 좌측은 숭모재이다. 

 

 

정문을 들어서서 좌측에 보이는 숭모재(崇慕齋)(보이는 건물)이다. 

 

 

숭모재(崇慕齋) 

제사를 올리는 祭室이다. 숭모재 좌측으로 가면 외삼문에서 사당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다. 

 

 

숭모재와 궁평별묘 사이에서 바라본 정경이다.

 

 

외삼문(宮平別廟)에서 바라본 내삼문과 사당의 정경, 

숭모재(崇慕齋) 왼쪽으로 들어서면 키 크고 멋진 소나무들이 좌우로 늘어서 있으며 넓은 묘역이 한 눈에 들어온다. 정면에는 사당을 감싸 안은 내삼문과 돌담이 있고 神道 중간 오른쪽에는 영순군의 큰아드님이자 광평대군의 장손 남천군 신도비(南川君神道碑)가 세워져 있다. 

 

 

〈유명조선국종실소덕대부남천군전주이공휘쟁신도비 / 有明朝鮮國宗室昭德大夫南川君全州李公諱崝神道碑〉

 

 

 〈내삼문( 內三門)〉 사당 (祠堂) 으로 통하는 문.

 

 

〈정묘 /正廟 〉 (위패를 모시는 祠堂)

삼선조(三先祖) 무안대군(撫安大君)·광평대군(廣平大君)·영순군(永順君)께 제향(祭饗 陰3月15日)을 올리는 묘우(廟宇·祀堂)이다.

 

 

〈사당 / 祀堂〉

즉면에서 바라본 祀堂 정경,  좌측 남쪽 內三門을 들어서면 마주 보이는 남쪽을 向한 正廟, 그 우측 담장 안에 西廡, 소나무 줄기에 일부 가려진 내삼문 우측에 쪽문이 보인다。

 

 

사당과 광평대군묘 사이에 도청(都廳)과 세장기비(世葬記碑)가 있다. 

 

 

〈도청/都廳〉

현재 광평대군 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건물로 정월초하루, 그리고 추석에 제례를 올리는 묘우(廟宇)이다. 본래 서울 안암동 광평대군 사저에 있던 것으로 일종의 客舍였던  1906년 지금의 장소로 옮겨온(移建) 것이다

 

 

《이씨세장기비/李氏世葬記碑》

숙종21년(1691년) 평안부윤과 평안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를 지낸 광평대군의 10㔺 후손 李濡가 당시 표지나 기록도 없이 1백8십6기가 세월이 흐를 수록 더욱 민멸泯滅될 것을 생각하여 스스로 일일이 각 봉분의 주인과 위치를 세세히 기록하고 돌에 새겨 비碑로 세운 世葬記이다. 

 

 

광평대군 묘역 전체가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48호로 지정되면서 이 세장기비도 비각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광평대군 묘역 (廣平大君 墓域) 

묘역 주변에는 붉은 목책을 둘렸다.

 

 

〈광평대군 신도비 / 廣平大君 神道碑〉

대군묘 좌측에 세워져 있다. 비두(碑頭)는 직사각형 판석으로 모서리를 다듬었다. 

 

 

〈광평대군 묘표 / 廣平大君 墓表 〉

「유명 조선국왕자광평대군시장의공지묘 / 有明朝鮮國王子廣平大君諡章懿公之墓」

 

 

〈광평대군 / 廣平大君〉세종7년(1425)-세종26년(1444).

광평대군은 세종7년(1425) 5월2일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5남으로 태어나 8세때 광평대군의 봉작(封爵)을 받으셨고 휘(諱)는 여(璵), 자(字)는 환지(煥之), 호(號)는 명성당(明誠堂),시호(諡號)가 장의공(章懿公)이시다. 세종18년(1436) 춘추 12세때 성균관에 집지(執贄) 입학하시어 효경(孝經), 소학(小學), 사서(四書) 삼경(三經)을 수업, 편열(遍閱)하고 문선(文選)과 당나라의 이백 두보(李白 杜甫) 및 송나라 동파 소식(東坡 蘇軾)의 문집을 두루 탐독(探讀)하셨다. 또한 국어 좌전(左傳)을 통달하셨고 음육(音律)과 산수(算數)에도 오묘한 경지에 이르셨다. 서법(書法), 만궁(彎弓)과 격구(擊毬)에도 능숙하여 세종대왕께서는 이를 기특히 여기시고 간의(簡儀) 종부시 종리(宗簿寺 綜理)의 일을 득체(得體)케 하셨다. 배위(配位)

는 영가부부인 평산 심씨( 永嘉府夫人平山申氏)이며 贈좌의정 자수(自守)의 따님이시다. 묘지명은 대제학    이계전(李季甸1404-1459)이, 신도비명은 청양군 심의겸 (靑陽君 沈義謙1535-1587)이 찬(撰) 하였다.   

 

〈좌,광평대군·우,영가부부인평산심씨 / 左, 廣平大君 · 右, 永嘉府夫人平山申氏 〉雙墳.

 

〈영가부부인평산신씨지묘 /永嘉府夫人平山申氏之墓〉

 

 

〈광평대군묘역 정경/ 廣平大君墓域情景〉

쌍분으로, 마주할 때 우측 봉분은 광평대군묘, 좌측 봉분은 영가부부인봉분이다.

봉분 전면은 장방형 帶石을 二段으로 쌓고그 面에 돋을새김으로 수련꽃과 줄기가 刻彫되어 있다. 上段에는 墓表와 魂遊石이 자리하였고, 中段에는 두 봉분 앞에 各各 長明燈 있고 우측에 神道碑가 있다, 下段에는 文石人이 좌우에 세워져 있다.

 

 

영가부부인묘 측면에서 담은 석물의 정경이다. 

 

 

광평대군 봉분 뒤에서 담은 정경으로 도청(都廳) 지붕과 사당祀堂, 서무(西廡), 내삼문(內三門), 외삼문 궁촌별묘(外三門宮村別廟) 등 한 눈에 보인다. 

 

 

〈갈림길 情景 〉

광평대군묘역 아래에서 바라보기 좌측 갈림길에서 우측에는 영순군묘역 (永順大君墓域) 의 돌계단이 보이고, 바로가는 길은 길 끝에 무안대군묘가 보인다 

 

 

우측 영순군묘로 오르는 돌계단으로 가는 길,

 

 

영순군묘로 오르는 돌계단. 

 

 

《2대조 영순군묘 / 二代祖 永順君墓》

돌계단을 다 올라서서 접한 영순군묘. 

묘 상단에는 묘봉과 묘표와 혼유석이 자리하고 중단에는 장명등과 문인석이 세워져 있고 하단에는 신도비가 있다. 

 

 

〈영순군 /永順君〉새종26년(1444)-성종1년( 1470 ).

봉분 뒤에는 좌우 뒤를 두른 담(曲墻)이 둘려져 있다.  

영순군은 광평대군 외아드님이시며 휘(諱)는 부(溥), 자(字)는 준지(俊之), 호(號)는 명신당(明新堂), 시호(諡號)는 공소공(恭昭公)이다. 출생한지 5개월만에 아버님이신 광평대군께서 돌아가시자 할아버님 세종대왕께서는 지극히 총애하시어 왕자의 예와 같게 하라고 명하셨다. 문종 1년(1451) 8세때 가덕대부(嘉德大夫) 영순군의 봉작을 받으셨고 단종3년(1455)에 소덕대부(昭德大夫)와 세조4년(1458) 흥록대부(興祿大夫)에 오르셨다. 세조 12년(1466) 등준시(登俊試)에 응시 갑과(甲科) 1人에 뽑히셨으며, 이시애(李施愛) 난(亂) 평정의 공으로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제수되셨다. 세조14년(1468) 온양중시(溫陽重試)에 응시 장원을 하셨으며 예종1년(1469) 보사정난익대공신(保社定難翊戴功臣)이 되셨고 이력사(履歷事를 초록(抄錄)해서 만든 책이 27권이 되었다. 삼조(三朝)에 걸쳐 기밀사를 관장하시면서 억울한 일을 처리하는 경우 사리에 밝은 계청(啓請)을 거듭하여 신구(伸救: 죄없는 사람을 구원함)한 일이 많으셨다. 지금도 창경궁 뜰안에는 '문 영순군(文永順君), 무 귀성군(武 龜城君)'이라고 쓰여 있는 표석이 있으며, 문무양현(文武兩賢)이라 일컬어 왔다. 

 

 

곡장(曲墻) 뒤에서 바라본 정경.

 

 

우측 영순군묘에서 무안대군묘로 가는 길.

 

 

〈왕자 무안대군 증시장혜공휘방번지묘해좌 삼한국대부인왕씨부좌 /王子撫安大君贈諡章惠公諱芳蕃之墓亥坐 三韓國大夫人王氏祔左〉 

 

 

 

〈무안대군 / 撫安大君 〉 고려우왕7년(1381)-태조7년(1398)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의 제7남으로 신덕고황후 강씨(神德高皇后 姜氏) 소생이시다. 고려조 말에 고공랑(考功郞) 벼슬을 하셨다. 태조고황제께서 개국(開國)하신 후 무안대군의 봉작을 받으시고 좌군절제사(左軍節制使)에 임명되셨다. 

태조고황제의 지극한 사랑을 받으셨으나 태조7년(1398) 정도전의 난(亂) 때 과잉 충성하는 무리에게 화를 당하여 조졸(早卒)하셨다. 세종대왕께서는 무인대군의 후사(後嗣)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시고 광평대군으로 하여금 봉사사(奉祀事)를 명하시어 제사를 받들도록 하셨다. 신도비명은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지었다. 

 

(왕자무안대군 장혜공 방번지묘 전경 / 王子撫安大君 章惠公 芳蕃之墓 前景)

 

무안대군묘 뒤에서 바라본 정경.

 

 

무안대군묘에서 동쪽방향 정경으로 좌측에 광평대군묘가 보이고 아래 소나무 숲에 사당이 가려 있고 앞산 줄기 따라 남천군묘, 청안군묘, 회원군묘, 곤명군묘 등과 조상님의 묘가 있고 산 너머 다른 산줄기 여럿에 문성부정묘 이외 여러 부정副正 묘墓와 많은 종문들의 묘가 있다.

 

 

《3대조 남천군묘 / 三代祖 南川君墓》 

昭德大夫南川君完山李公 崝之墓

金陵郡夫人全州崔氏 祔

 

 

《4대조 문성부정묘 / 四代祖 文城副正墓》

 

 

 

《4대조 明善大夫行文城副正諱 湘之墓

配 愼夫人 固城李氏 祔左 · 配 愼夫人 坡平尹氏 祔右》

 

 

《5대조 진위장군 원명묘 / 五代祖 振威將軍原明墓》

   振威將軍行忠佐衛副護軍 全州李公 諱 原明之墓

 

 

조상묘역(祖上墓域)을 두루 돌아보고 다시 사당(正廟)과 시조 광평대군묘와 영가부부인평산신씨묘( 始祖 廣平大君墓 · 永嘉府夫人平山申氏墓)를 바라본 情景이다.

 

 

 

외삼문 안쪽 우측에 있는 못은 연이 없고 오리와 비단잉어 노니나니 蓮池는 아니요 緋鴨緞鯉池이다. 

 

 

이밖에도 정문을 들어서 우측으로 종회당(宗會堂)이 있고 그 우측 안에 종손이 생활하는 종가(宗家)가 있다.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 ~ 1450] 가계도
정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 ~ 1446]
적1남 왕세자(王世子) [1414 ~ 1452] : 제5대 문종대왕
적2남 수양대군(首陽大君) [1417 ~ 1468] : 제7대 세조대왕
적3남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 ~ 1453]--계유정난
적4남 임영대군(臨瀛大君) [1420 ~ 1469]
적5남 광평대군(廣平大君) [1425 ~ 1444]--요절
적6남 금성대군(錦城大君) [1426 ~ 1457]--순흥부사 이보흠과 단종복위운동
적7남 평원대군(平原大君) [1427 ~ 1445]--요절
적8남 영응대군(永膺大君) [1434 ~ 1467]
적1녀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 ~ 1424]--요절
적2녀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 ~ 1477]

서1남 화의군(和義君) [1425 ~ 1460] (영빈 강씨)-단종 복위관련
서2남 계양군(桂陽君) [1427 ~ 1464] (신빈 김씨)
서3남 의창군(義昌君) [1428 ~ 1460] (신빈 김씨)
서4남 한남군(漢南君) [1429 ~ 1459] (혜빈 양씨)--단종 복위관련 
서5남 밀성군(密城君) [1430 ~ 1479] (신빈 김씨)
서6남 수춘군(壽春君) [1431 ~ 1457] (혜빈 양씨)--단종 복위관련 
서7남 익현군(翼峴君) [1431 ~ 1463] (신빈 김씨)
서8남 영풍군(英豊君) [1434 ~ 1457] (혜빈 양씨)--단종 복위 관련 
서9남 영해군(寧海君) [1435 ~ 1477] (신빈 김씨)
서10남 담양군(潭陽君) [1439 ~ 1450] (신빈 김씨)--요절
서1녀 정현옹주(貞顯翁主) [1424 ~ 1480] (상침 송씨)
서2녀 정안옹주(貞安翁主) [1438 ~ 1461] (숙원 이씨)

 

20대 孫  - 揆明 -

 

 

'◈ 나의 뿌리 廣平大君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廣州治西光秀山李氏世葬記碑]  (0) 2024.06.08
나의 崇祖 쉬시는 곳  (0) 2006.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