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朝鮮時代)/조선역대 왕사(朝鮮歷代王史)

「『 추존왕 장조 . 사도세자 (莊祖 思悼世子 1735~1762) 』의 융릉(隆陵)

鄕香 2006. 6. 17. 10:00

<융륭 / 隆陵> 

융릉은 사도세자( 思悼世子)로 알려진 장조(莊祖 1735~1762)와 혜경궁(惠慶宮 洪氏)으로 알려진 헌경황후 홍씨(獻敬皇后 洪氏 1735~1815 )의 합장릉 입니다. 이복형인 효장세자(추존 진종)가 요절하고 영조가 마흔이 넘은 나이에 태어난 장헌세자는 2세 때 왕세자에 책종되었고 소론계 학자에게 학문을 배웠습니다. 장헌세자가 부왕(영조)을 대신하여 정무에 임하게 되면서 노론에서는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와숙의 문씨 등을 내세워 모함하여 세자는 결국 뒤주에 갇혀 목숨을 잃었습니다. 1762년(영조38년)에 영조는 28세의 나이에 비참하게 죽은 장헌세자에 대해 후회하면서 시호를 사도(思悼), 묘호를 수은묘(垂恩墓)라고 하였습니다. '思悼'라는 것은, '세자를 생각하며 추도한다'라는 뜻입니다.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의 죽음을 사소설체로 쓴 "한중록(恨中錄)을 남겼습니다.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죽은 뒤인 1762년 혜빈(惠嬪)의 시호를 받았습니다. 사도세자의 능은 원래 경기도 양주군 남쪽 중랑포 배봉산에 조성되어 영우원(永佑園)이라 하였는데, 정조가 즉위하면서 바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존호를 장헌으로 올리고 1789년에 지금의 화산(花山화성시 안녕동 산1-1)으로 옮기고 현륭원(顯隆園)이라 하였으며, 다시 능호를 융릉(隆陵)으로 올렸습니다. 이 후 고종 때 의황제(懿皇帝)로 추존함과 동시에 혜경궁 홍씨도 의황후((懿皇后)로 추봉하였습니다.     

 

 

 

정조는 융릉 조성에 많은 공을 드렸습니다. 세자의 묘인데도  병풍석을 설치하고 무인석까지 세웠습니다. 그 만큼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효심을 엿볼수 있겠습니다. 봉분 아랫부분은 십이지신상 자리에 모란과 연꽃문양을 새긴 병풍석이 감싸고 있으며, 봉분과 지면이 맞다는 부분에는 와첨석을 깔아서 장식하는 등 정교한 조영 기술이 돋보입니다. 특히 馬石이 武人石 곁에만 한 마리씩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억울하게 죽어간 아버지의 넋을 위로하고자 했던 정조의 정성이 빚어낸 조선왕릉 중에 가장 아름답게 조성되어 있습니다.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 碑前文>

(朝鮮國思悼莊獻世子顯隆園 / 조선국 사도장헌세자현륭원)

 

 

 

 

 

 

역문

《사도 수덕돈경 홍인경지 장헌세자는 숭정 기원후 108년(영조 11,1735)을묘년 정월 21일에 탄강하시었다. 병진년(영조12년, 1736)에 원자(元子,世子)로 책봉되고, 기사년(영조,1749)에 왕세자에 책봉되시어 대리청정(代理聽政)의 명을 받았으며, 임오년(영조38,1762)윤5월 21일에훙서(薨逝)하시니 수한이 28세 이셨다. 시호를 사도(思悼)라 내리시고, 7월23일 양주 남쪽 중량포(中梁浦)의 배봉산 갑좌(甲坐)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소자(아들 正祖)가 즉위하던 병신년(1776) 에 시호를 장헌(莊獻)으로 추상(追上)하고 원호(園號)를 영우(永佑)로 올렸다. 계묘년(정조7,1783)에 존호(尊號)를 수덕돈경(綏德敦慶)이라 추상하였고, 이듬해인 갑진년(1784)에는 존호를 홍인경지라 가상(加上)해 올렸다. 기유년(정조13,1789)10월 초 7일에 수원의 화산 계좌(癸坐)의 언덕으로 천봉하고 원호(園號)를 현릉(顯隆)으로 고쳤다.》

 

 

 

 

 

<역문>

대한

장조 의황제 융릉

헌경 의황후 부좌

장조사도 수덕돈경 홍인경지 장륜융범기명창휴 찬원헌성계상현희 신문환무장헌광효 의황제 묘도의 돌(비석)은 정조 신황제께서 친히 지으신 것이다. 을묘년(정조 19,1795)에 존호를 추상하여 장륜융범기명창휴라 올렸으며, 철종(哲宗)을묘년(철종 6,1855)에는 존호를 추상하여 찬원헌성계상현희라 더하여 올렸다. 광무3년(1899)기해년 10월에는 왕으로 올려 추존하여 시호를 신문환무장헌광효로 올렸으며, 묘호를 장종(莊宗)에 봉하였다. 능호는 융릉(隆陵)으로 그 해 11월에 추존하였는데, 시호는 가로되 의황제(懿皇帝)이고 묘호는 장조(莊祖)이시다. 황후는 효강자희정선휘목유정 인철계성 헌경의황후 홍씨로 개국 344년 을묘년(영조11,1735)6월18일 탄생하시어 갑자년(영조20,1744)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며, 임오년(영조38,1762) 혜빈의 호를 받았으며 정조 즉위년(1776)에 궁호가 혜경으로 올랐고, 순조 을해년(순조15,1815)12월15일 81세를 일기로 승하하여 이듬해(병자년)3월3일 현륭원 좌측에 봉릉되었다. 을묘년(철종6,1855)에 존호를 '유정'이라 하고, 광무 3년(1899,기해년)10월 왕후로 추존하면서 휘호를 '인철계성'이라 올렸으며 시호를 헌경이라 하였다가 그 해 11월 시호를 의황후로 추존하였다. 이제 또 비석을 세우니 공경하여 앞면에 추가로 휘음(徽音)을 적어 넣는다. 광무 4년(1900) 월 일.

 

<수복방/守僕房>

 

 

 

<곤신지/坤申池>

원형으로 조성된 연못 곤신지는 융릉이 조성된 이듬해 1790년에 조성되었으며 곤신방(坤申方,남서방향)은 풍수지리로 볼 때 융릉에서 처음 보이는 물(生方)로 좋은 곳이기 때문에 판 연못입니다.

 

 

 

 

 

  <鄕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