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개풍군에 있는 고려 인종(재위 1122-1146)의 장릉(長陵)에서 '황통 6년'(皇統 六年. 1146) 명(銘)이 있는 시책(諡冊)과 함께 출토된 유물들 가운데 하나로 추정됩니다. 장릉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청자과형병》이 있습니다. 안쪽 바닥을 둘러 음각선이 한 가닥 있을 뿐 다른 장식 의장은 없고, 기벽이 얇고 고르며 해맑은 접시입니다. 바닥은 굽이 따로 없는 평저(平底)이며 극히 전아(典雅)한 곡선으로 마무리되어 있고, 규석 빚음눈 자국이 세 군데 남아 있습니다. 태토는 매우 정선되어서 맑고 연한 회색이며 약간 실투성(失透性)을 지닌 유약이 고르게 입혀져 옅은 녹색이 비낀 회청색을 띠면서 빙렬(氷裂)이 거의 없는, 12세기 전반 고려청자 최성기 순청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접시입니다. 이런 유태(釉胎)를 보이는 접시의 파편들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청자 가마터에서 수집되었습니다.
청자접시(靑磁楪匙)
한국-高麗時代 / 陶磁器-(靑磁) 높이 cm, 입지름 cm /國立中央博物館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방형대(靑磁方形臺) (0) | 2012.06.08 |
---|---|
.청자방형대(靑磁方形臺) (0) | 2012.06.08 |
청자 연꽃 넝쿨무늬 주전자 (靑磁蓮唐草文注子) (0) | 2012.06.08 |
청자 꽃 새 무늬 매병 (靑磁花鳥文梅甁) (0) | 2012.06.08 |
순청 주전자(靑磁 注子) (0) | 201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