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대자연휴양림에 도착한 시각은 오후 2시경 휴양림의 산책길을 돌아보고 저녁을 사먹기 위해 휴양림을 나와 입구 옆 연화동전적비와 안보관을 돌아봤습니다. 이곳은 16년 전 전국을 발칵 뒤집었고 달포 기간 동안 연일 신문과 방송에 대서특필로 장식했던 잠수함으로 침투했던 무장공비와 교전하다 전사한 군 장병을 기리고 반공정신을 고취하고자 세운 전적기념비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이처럼 고귀한 희생을 치르면서까지 지켜야 하는 것은 자유 민주입니다. 자유대한민국을 붕괴하려는 북한의 음모에 동조하여 버젓이 국회의원이 되어 활보할 수 있는 이 자유를 이석기는 누리면서 자유 민주를 전복시키려는 북한 김씨 왕조의 戌狗노릇을 하며 국민을 배반하고 있음에 개탄스러움을 금할 수 없음이 이글을 올리는 이유입니다.
이 전적비는 용대자연휴양림 입구 옆에 위치합니다. 다음은 안내판 전문입니다.
위 치 : 인제군 북면 용대리 산 202-1
시설제원 : 기단 높이 0.9m, 비 높이 10.5m, 공원면적 7,600㎡ .
준공일자 : 1998년 11월 5일
1996년 9월18일 북한 무장공비 25명이 잠수함을 이용 강릉 안인진리 해안으로 침투하여 49여일 동안 소탕작전을 펼치던 중 11월 4일 오후3시20분경 우리 군에 의해 쫓기던 무장공비 2명이 양구, 인제, 향로봉 방향으로 도주하던 중 산머리곡산 일대에서 12사단 병력에게 발각되어 작전이 전개되었고 11월5일 04시20분경 연화동 계곡 입구에서 매복중이던 제703특공연대 병력과 조우한 후 도주한 공비를 06시48분경 합신하던 303기무부대 및 제703특공연대 2대대, 12사단 51연대 수색중대가 교전, 잔적2명을 사살하고 300여 점에 이르는 장비를 노획함으로써 49일간의 강릉침투 무장공비 소탕 작전이 종결되었다.
그러나 연화동 전투 중에 제303기무부대장 오영안 준장, 제703특공연대 정보장교 서형원 소령, 제12사단 51연대 수색중대 강민성 병장이 전사하여 이들의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자 4억 6천만원(도비3천만, 군비1억6천6백만원,군 장병 2억6천4백만원)을 들여 평화와 안보를 상징하는 전적비와 기념공원이 조성되었다.
<8인치 자주포>
<M47전차>
저는 1968년 기갑하교 ATMC # 29期를 수료 후 육군기갑학교 제11전차부대에서 35개월 동안 기재담당요원으로 국방의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당시 기갑학교에서 교육생을 양성하던 전차는 M47전차 . M48전차 두 종이었는데, 이 전차는 당시 구형에 속하는 M47전차입니다. 승무원은 전차장, 포수, 전방사수(Cal 50m 기관총), 조종사, 탄약수 이상 5명입니다.
하나~ 둘~ 셋~ 넷~ 하나, 둘, 셋, 넷, 하나둘셋넷, 행군간에 군가한다. 군가는 무적전차병! 하나, 둘, 셋, 넷! "가슴에 빛나는 삼각형 마크는 ~~~ , 기갑학교 교육생시절, 어렵고 힘들었지만, 지금은 그 때도 그립습니다.
<무적 전차병가>
가슴에 빛나는 삼각형 마크는
국군의 자랑이다 무적전차병
뜨거운 젊음을 철갑에 담고
전우와 전우간에 의리에 산다.
싸우자 이기자 자유를 지키자
천지를 호령할 지상에 왕자! 지상에 왕자!
<육군기갑학교 교가>
세기에 빛나는 육군기갑학교
자라는 그 곳은 상무대이다.
배우고 또 배워 힘을 길러서
숭고한 전통을 이어 받들어
나가자 전차야 적진을 향해
대지의 끝까지 벋어 나가자!.
<자주포와 안보전시관>
공비 소탕전을 벌였던 주변 산세
점심을 황태찜을 맛없이 먹었기에 저녁은 다른 음식을 먹고 싶었지만, 온통 황태음식점 뿐입니다. 할 수 없이 용대리 인근 황태 더덕 정식으로.. 그러나 맛은 점심에 먹었던 황태찜처럼 실망입니다. 황태를 충분히 물에 불려 양념을 해서 익혀야 하는데, 황태가 마른 상태라 부드럽지 않고 간도 배질 않아 딱딱하고 그냥 북어를 먹는 기분이었습니다.
용대리 인근 식당들
<용대 자연휴양림 입구>
자연휴양림도 콘도처럼 음식을 끓여 먹을 수 있는 시설이 잘 되어 있지만 현지 주민의 경제적인 도움도 주고 현지 특성있는 음식도 먹기 위해 여행 중에는 주로 현지 식당을 이용합니다. 저녁을 사먹고 다시 휴양림으로 내일 산행을 위해 휴식과 잠을 取하고자...
2013년9월4일 저녁녘에 <鄕香>
'◈ 세월에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미천골자연휴양림 (0) | 2013.09.23 |
---|---|
설악산 (장수대~12선녀탕~남교리) (0) | 2013.09.22 |
국립용대자연휴양림 (0) | 2013.09.21 |
합강정과 중앙단(合江亭 / 中央壇) (0) | 2013.09.18 |
파사성(婆娑山城)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