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용대자연휴양림으로 가는 44번 국도
설악으로 가는 44번국도에서 너무도 아름다운 파란하늘과 하얀구름에 매료되어 달리는 차창을 통해 담은 모습입니다.
<합강정/合江亭>
숙종2년(1676년)에 이세억 현감이 건립한 합강정은 인제에서 가장 일찍 건립된 누각 형 정자로 인제팔경의 하나입니다. 합강정은 정자 앞을 흐르는 강 이름을 따 붙인 것입니다.. 합강리 앞에 흐르는 강물은 동쪽 오대산, 방태산 등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내린천과 설악산과 서화에서 발원하는 인북천이 홍진포(합강나루)의 龍沼에서 합류되어 흐르기 때문에 合江이라고 불려 졌으며, 합강변을 중심으로 형성된 뛰어난 지세와 경관을 내려다볼 수 있는 능선에 정자를 건립하면서 합강정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건립이 후 화재 등으로 소실되었으며 영조32년(1756년) 당시 김선재 현감 재임 시 다시 중수되었습니다. 1760년에 간행된 여지도서(與地圖書)에 "합강정은 十字閣형태의 누각으로 건립되었는데, 다섯 칸이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후 1865년에 다시 6칸 건물로 중수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근래에 이르러 한국전쟁 때 폭격에 의해 소실되었으나 1971년 합강나루터 능선위에 6칸 규모의 콘크리트 2층 누각으로 신축되어 1983년부터 합강문화제의 제례가 봉행되는 신성한 장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휴식처로 이용되어 인제군을 대표하는 전통건축물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지금의 이 합강정은 1996년 국도확장공사에 의하여 철거된 것을 1998년 6월2일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목조 2층 누각으로 복원한 것입니다.
<강원도 중앙단/江原道中央壇> (인제읍 합강리 산 221-13)
44번국도 설악휴게소 옆에 위치한 이 중앙단은 조선시대 각 道의 중앙에서 전염병이나 가뭄을 막아내고자 억울하게 죽거나 제사를 받지 못하는 神을 모시고 별여제(別厲祭)를 지냈던 제단입니다. 조선시대 여제(厲祭)는 국가에서 자연신에게 지내는 제사중 소사에 해당하는 제사로 정종2년(1.400년)에 지방의 州縣까지 시행하였습니다. 임금이 봉행하는 여제단(厲祭壇)은 궁성밖 북교, 동교, 서교에 설치되었고, 주현의 고을에서는 주로 관아 북쪽의 민가에서 멀리 떨어진 구릉지에 제단이 만들어 졌습니다. 제사는 매년 청명, 7월15일, 10월1일, 모두 3회에 걸쳐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냈고, 역병이나 가뭄이 심한 지역에서는 시기와 장소를 별도로 정하여 별여제(別厲祭)시행하였습니다.
여제(厲祭)가 국가와 지방에서 정례적으로 행해진 것은 농경중심의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가뭄이나 전염병 등 재난의 원인이 제사를 받지 못하거나 억울하게 죽어 원한맺힌 신들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그 신들에게 제사를 지내 위로함으로 재난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국가적 차원의 제사인 경우 임금이 직접 제문을 짓고 친히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으며, 지방 군현의 경우 대부분 수령의 주관하에 지내도록 하였습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영조18년(1742년)에 왕명에 의해 병여제가 각 도의 중앙인 강원도 인제, 경상도 상주, 충청도 공주, 전라도 광주 등에서 시행되엇습니다. 이 기록에 의하면 인제읍지(1843) 단묘조(壇廟條)에 기록된「합강정 뒤쪽에 있는 중앙단」은 영조18년(1742년)에 각 도의 중앙에서 행해진 별여제 제단의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작은 누각으로 보호되고 있는 불상이 합강을 말없이 바라보고 있습니다.
<불상/石造佛立像>
전체적으로 풍만한 신체에 복건을 머리에 쓰고 수인은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 같은 형태이나 손바닥이 아닌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 손바닥을 보인 여두인(與頭印)을 취하고 있으며 법의(法衣)의 윤곽은 오랜 풍화로 산화되어 그 형식을 알 수 없고 얼굴의 윤곽은 희미하게나마 자애로운 눈길만 어렴프시 보일 뿐입니다. 복건을 한 것이나 전체적인 풍미로 보아 고려의 불상으로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
<박인환 시비 / 朴寅煥 詩碑>
시인 박인환(朴寅煥1926~1956)은 강원도 인제에서 출생하여 평양의전을 중퇴하고 1949년 후반기 동인에 참여하여 도시적인 비애와 고뇌를 그린 모더니스트입니다. 6.25한국전쟁 이후 도시문명의 퇴폐적인 모습과 우수를 표현하였던 시인으로 "세월이 가면" .' 목마와 숙녀' 등 다수의 시를 남기고 젊은 나이에 세상을 달리하였습니다.
(세월이 가면)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이 시의 분위기는 죽은 여인을 잊지 못해 하는 애상적이지만, 6·25전쟁의 비참성과 상실감, 인생의 허무감을 암시합니다.
이 시의 3연은 더 서글픕니다.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차음엔 타워크레인 인줄 알았습니다. 공사라도 하는가보다 싶어 무심히 보고 있는데 꼭대기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거예요. 놀란 가슴으로 보고 있는데 ㅎㅎ 글쎄 번지점프를 하는 곳이었어요. 발목에 고무줄을 동여맨 사람이 거꾸로 달려 괘종시계 추처럼 흔들흔들 왔다갔다.. 휴~ 웃을 수 있어 다행이다 싶었습니다.
44번국도변의 설악휴게소
2013년 9월4일 설악산용대자연휴양림 가는 길에.. <鄕香>
'◈ 세월에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대 연화동전적비기념관 (0) | 2013.09.22 |
---|---|
국립용대자연휴양림 (0) | 2013.09.21 |
파사성(婆娑山城) (0) | 2013.09.17 |
국토종주남한강자전거길(양평~이포보~여주보~ 강천보) (0) | 2013.09.16 |
한강 시원 검룡소(漢江 始源 儉龍沼) (0) | 201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