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亭의 작품에서 특질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渴筆과 褐色에의 선호하는 믿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는 한국의 풍토적 문화적 특질을 갈필과 갈색으로 결론지었습니다. 그의 갈필이 갖고 있는 미학적 의미는 <無關心의 관심> <無技巧의 기교>라고 표현하고 있는 한국미의 중도적 성격을 그지없이 표현한 것이고, 강렬한 갈색에의 집착은 황토에 묻혀 있는 한국의 참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토록 황토에의 특색에 집결할 수 있는 갈색에의 信仰은 그의 작가적 체질인 것이며 그의 예술의 본질인 것입니다.
이 그림은 중앙에 위치한 亭子에서 양분하여 오른쪽에는 江과 遠景을, 왼쪽에는 벼랑과 그 아래로 몇 채의 山家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강과 강기슭의 풍경, 그리고 벼랑 위에 정자가 배치되는 화면설정은 '소정' 특유의 양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의 특징이라면 정돈된 描法이 아니라 상당히 거친 붓으로 구사하여 가을의 계절감을 효과 있게 묘출한 점입니다. '소정'은 오히려 다듬어진 자신의 수법에 의존할 때보다 다소 거친 표현 勢에 자신을 의탁할 때 得意한 묘법을 거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정' 특유의 野趣性도 이와 같은 계열의 작품 속에서 진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추정소소/秋亭蕭素>
韓國 近代 / 小亭 卞寬植 1899~1975)筆 / 紙本淡彩 127×32.5cm / 個人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근대 회화(近代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정 변관식 필 고사관폭도(小亭卞寬植筆高士觀瀑圖) (0) | 2013.03.05 |
---|---|
소정 변관식 필 옥류청풍(小亭卞寬植筆玉流淸風) (0) | 2013.03.05 |
소정 변관식 필 관폭도(小亭卞寬植筆觀瀑圖) (0) | 2013.03.03 |
소정 변관식 필 농촌가을풍경小亭卞寬植筆農家秋景 (0) | 2013.03.02 |
소정 변관식 필 관폭도(小亭卞寬植筆觀瀑圖) (0) | 201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