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정(小亭 卞寬植 1899~1976)의 산수화의 독창성은 우선 技法에서 積墨法과 破線法을 들 수 있습니다. 적묵(積墨) 위에 진한 먹을 튕기듯 찍음으로써 線은 깨트려지고 俗氣가 배제됩니다. 이것이 그의 독특한 파선법입니다. 소정은 寫景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산수화를 완성한 靑田과 자주 비교되며, 이들은 조선조 중기의 眞景山水의 宗인 겸재(謙齋 鄭敾1676~1759)이후 진경산수의 전통을 확립한 大家들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겸재'의 필법에 가장 접근한 화가가 바로 小亭이며, '겸재'가 쌓아올렸다가 그 다음 세대에 지속하지 못했던 한국산수화의 전형이 '소정'에 와서 비로소 결실을 맺게 되었습니다. 비록 이들이 살다간 시대는 격차가 있으나 이들이 지향했던바 정신의 귀착점은 같은 것이며 이들의 예술이 각각 당대에 차지하는 무게 또한 상통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한국화단을 지배하고 있던 중국의 관념적인 산수화풍에서 벗어나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그 양식이 바로 한국의 산천이라는 데서 그 진면목을 드러내 놓았습니다. 이 그림의 내용은 금강산 진주潭을 寫生한 것으로 情感이 치솟는 듯한 필세와 濃墨의 표면적 기운이 화면 전체를 뒤덮고 있어서 작가의 호탕한 筆意가 한껏 반영되고 있습니다.
<관폭도/觀瀑圖>
韓國 近代 / 小亭 卞寬植 1899~1975)筆 / 紙本淡彩 36×24cm / 個人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근대 회화(近代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정 변관식 필 옥류청풍(小亭卞寬植筆玉流淸風) (0) | 2013.03.05 |
---|---|
소정 변관식 필 추정소소(小亭卞寬植筆秋亭蕭素) (0) | 2013.03.03 |
소정 변관식 필 농촌가을풍경小亭卞寬植筆農家秋景 (0) | 2013.03.02 |
소정 변관식 필 관폭도(小亭卞寬植筆觀瀑圖) (0) | 2013.02.27 |
소정 변관식 필 도화유수(小亭卞寬植筆桃花流水) (0) | 201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