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적은 벼루에 물을 붓기 위해 물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서 두 개의 작은 구멍이 있어 물을 담고 따르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입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연적은 대부분 조선 후기의 것들입니다.
그 형태는 사각.부채.육각.보주.두꺼비.해태.물고기.거북.화형.무릎형.복숭아.환형 등 다양합니다. 순수한 백자製도 있으나 청화백자 또는 청화에 銅畵를 곁들여 아름답게 장식한 것이 많습니다. 연적은 문방에서 실용으로 쓰이면서 완상품의 구실도 하였습니다.
이 연적은 철로 만들어서 그 표면에 강한 쇠로 만든 끌이나 조각칼로 사선문, 화문, 뇌문, 영기문 등의 문양을 새긴 홈에 은을 감입(은입사기법)한 것입니다.
철제은입사연적(鐵製 銀入絲硯滴)
한국(韓國)-조선(朝鮮)《19세기》 / 철제(鐵製) 높이 4.7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이 물병은 큰 글씨나 많은 글을 쓸 때 미리 먹물을 마련해 담아 두었다가 덜어 쓰는 묵호(墨壺)이거나 붓을 빠는 필세(筆洗)로 사용한 용기로 추측됩니다. 이 병은 목과 몸으로 상하로 구분이 되며 전면에 걸쳐 은입사기법으로 뇌문을 베풀고 몸체에 동그란 창을 마련하고 그 안에 길상문을 '은입사' 하였습니다.
철제은입사병(鐵製 銀入絲甁)
한국(韓國)-조선(朝鮮)《19세기》 / 철제(鐵製) 높이 8cm /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묵호 (수중승水中丞이라고도 함)란, 먹을 갈 물을 담거나 먹물을 담는 용기로서 그 쓰임은 연적과 비슷하나 연적은 글을 쓸 때 필요에 따라 물을 용이하게 벼루에 공급하기 위한 용기 이지만 묵호는 물을 담아 연적처럼 필요에 따라 물을 구기로 떠서 공급도 하고 글씨를 많이 쓸 때에 먹을 미리 갈아 먹물을 담아 비축하는 일에도 쓰인 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필세는 붓을 빠는 그릇을 말하며 발우(鉢盂).화형(花形).方形이 있으며
접시위에 붓을 씻기 위한 그릇을 부착하여 필점의 용도와 병행하기도 하였으며, 내부에 칸을 막은 것도 있습니다.
재료는 磁器 . 놋쇠 등이 쓰였습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유물(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합(鐵製銀入絲煙草盒)4점 (0) | 2012.05.12 |
---|---|
철제은입사초꽂이(鐵製 銀入絲燭架) (0) | 2012.05.12 |
홑 속바지 (袴) (0) | 2010.03.24 |
옽치마 (裳) (0) | 2010.03.24 |
너울(羅兀) (0) | 201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