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업(張承業1843 ~ 1897)의 본관은 대원(大元). 자는 경유(景猷), 호는 오원(吾園)·취명거사(醉瞑居士)·문수산인(文峀山人)입니다.
선세(先世)가 무반(武班)이었으나 어려서 머슴살이를 했다고 하며, 서울에 정착한 후 수표교에 살던 이응헌(李應憲) 또는 역관 출신의
변원규(卞元奎)로 알려진 사람의 집에 기식하게 되면서 어깨너머로 글공부와 원(元)·명(明) 이래의 명적들을 접하고 스스로 익혀
어느날 문득 화리(畵理)를 터득하고 그림을 능숙하게 그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의 화명은 날로 높아져 왕실에서는 그를 대령화원(待令畵員)으로 불러들여 그림병풍을 제작하게 했으며,
이때 감찰이라는 정6품 관직을 임시로 제수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술과 여자를 몹시 좋아했고, 특히 어떤것에도 얽매이기를 싫어하는
성격 때문에 궁궐에서 3번씩이나 도망친 일화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40대 무렵부터는 오경연(吳慶然) 등의 역관 중인계층과 김영(金瑛) 등의 여항문인(閭巷文人)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창작활동을 했으며, 녹청색 창의(彰衣) 차림의 특이한 모습으로 그림 판 돈을 술집에 맡겨놓고 매일 들러 마시면서 취한 상태로 지냈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질은 강렬한 필법과 묵법, 그리고 과장된 형태와 특이한 설채법(設彩法)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작품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산수·인물·영모·기명절지(器皿折枝)·사군자 등 여러 분야의 소재를 폭넓게 다루었는데 전반적으로 문기(文氣) 어린 격조보다는 뛰어난 기량이 돋보입니다. 산수에서는 원말4대가(元末四大家)와 청초(淸初)의 4왕오운(四王吳惲) 계통의 각종 남종화풍과 각체의 북종화풍을 함께 소화하여 그렸으며, 중년부터 특유의 기이하고 웅장한 외관, 복잡한 구도와 더불어 점차 북종 원체적인 장식화의 경향을 나타냈고, 인물과 영모에서도 역동적인 구도, 사실적인 묘사와 화려한 설채를 특징으로 했는데 만년으로 갈수록 전문적인 기교를 강조하는 화풍을 보였습니다. 기명절지에서는 청말의 조지겸(趙之謙)·오창석(吳昌碩) 등의 화풍과 근대감각이 깃든 음영법을 수용했습니다.
한편 선지(宣紙) 사용법의 보급과 함께 이에 적합한 부드럽고 긴 양털붓 기법을 개발하여 전파했으며, 그의 이러한 작품세계와 화풍 등은 안중식(安中植)과 조석진(趙錫晉)·이도영(李道榮) 등에게 계승되어 한말과 일제강점기의 전통화단에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조선시대의 화가로서 그만큼 뛰어난 技法의 소유자는 찾아 볼 수 없고 그처럼 넓은 장르에 걸쳐 기법을 구사한 천재는 찾아 볼 수 없습니다. 六堂 崔南善은 그의 「自助論」에서 "장승업은 중폐(重幣)의 유혹(誘或)에도 남작(濫作)을 피하고, 권세의 억압(抑壓)에도 淸操를 지켜 그의 예술眼에는 王者와 富豪가 다 없었다. 세속 사람들은 그의 심한 우소성(迂疎性)을 가련히 여겼으나 그 예술상의 불우(不朽)한 업적은 이 고결한 지조의 결과였다. 관운장(關雲長)의 죽(竹)이천고(千古)에 독수(獨秀)함은 그 름름(凜凜)한 고의(高義)가 호단(毫端)에 약동(躍動)하기 때문이요. 방효유(方孝儒)의 松.竹.石이 우주간에 불마(不磨)함은 그 정정(亭亭)한 경절(勁節)이 지면에 활현(活現)하기 때문이다.」(下略) 라고 오원의 인물됨을 높이 격찬하였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간송미술관 소장의 〈삼인문년도 三人問年圖〉·〈산수도〉·〈귀거래도〉와 호암미술관 소장의 〈노안도 蘆雁圖〉·〈호취도 豪鷲圖〉 등이 있습니다.이 그림은 관모와 의상과 앉아 있는 용상에 표현된 용문으로 보아 제왕의 초상화인 것으로 추정되며, 관모 정면에 이화의 문장으로 보아 조선 왕조가 대한제국으로 위상을 높인 1896년(고종 원년)직 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입니다. 장승업이 1897년(광무1년)임종하였으니 1896~1897 사이에 그린 고종의 초상이 아닌가 추측해 봅니다.
<細部>
오원 장승업 필 초상 (吾園張承業筆肖像)
조선시대 / (軸)絹本彩色 166.9 × 79.6cm /국립중앙박물관 所藏 (德2052)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인물초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자미상 조흥진 초상(趙興鎭肖像) (0) | 2012.01.30 |
---|---|
필자미상 윤급 초상(筆者未詳尹汲肖像) (0) | 2012.01.27 |
필자 미상 조말생 초상(筆者未詳 趙末生 肖像) (0) | 2012.01.16 |
조문명 초상화(趙文明肖像畵) (0) | 2009.12.29 |
이재초상(李縡肖像) (0) | 200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