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正祖)가 선왕(先王) 영조(英祖)의 어제(御製)를 봉안하기 위하여 1776년에 창건한 창덕궁 후원의 규장각 전경을 그린 관아도(官衙圖)입니다. 규장각을 주제로 삼아 그린 관아도이기 때문에 화면 중앙에 규장각을 실제보다 크게 강조하여 묘사한 다음, 그 전후좌우에 부속건물과 주변 경치를 에워싸듯 묘사함으로써 중앙의 주제를 매우 효과적으로부각시켜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미 풍부한 진경산수화의 풍모를 갖추었습니다. 중앙에 위치한 대형의 팔작지붕의 이층 다락집이 규장각 정당입니다. 상루하헌(上樓下軒)의 이층에서 일층이 규장각(奎章閣)이요, 이층은 주합루(宙合樓)입니다. 왼쪽의 장방형 일자집은 정조가 규장각에 행차할 때 싱료들을 접견하는 서향각(書香閣)이며, 그 뒷쪽의 작은 정자는 숙종(肅宗)이 세운 희우정(喜雨亭)입니다. 본디 터가 가파른 언덕이었기 때문에 주변을 벽돌담으로 차단하되 남쪽에는 취병(翠屛)을 가설하여 아름답게 꾸몄습니다. 담장의 사방에는 출입문을 가설하였는데, 추병에 설치된 남문은 규장각의 정문인 어수문(魚水門)이고 동문은 등현문(登賢門)이며, 서문은 서성문(西成門)입니다. 희우정 뒷편의 북문은 미상이나 그 왼편의 북문은 공신문(拱辰門)입니다. 동문 밖의 숲 속에 있는 장방형 일자집은 규장각신(奎章閣臣) 등의 집무소인 이문원(이摛文院)이고, 서문밖의 일자집은 이곳을 지키는 각감(閣監)들의 수직방(守直房)입니다. 전경(前景)에 보이는 큰 연못은 태액소(太液沼)이고, 이 태액소 남쪽에 서 있는 작은 사모정자는 택수재(澤水齋)이며, 동쪽에위치한 팔작지붕의 장방형 단층집은 전시(殿試)를 보는 영화당(映花堂)입니다. 영화당 앞의 작은 문은 의춘문(宜春門)이고 그 옆의 작은 도랑은 태액소의 물이 흘러나오는 어구(御構)인데, 그 위에 두 개의 판석교(板石橋)를 가설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태액소 서쪽의 작은 정자는 술성각(述盛閣)(碑閣)이며, 그 위에 홍살로 사방을 가린 것은 어정(御井)입니다. 술성각에서 서남으로 내려와 화면 좌하각에 위치한 큰 정자는 열무정(閱武亭)이고, 다시 그 동남쪽의 산 중턱에 서향으로 서 있는 장방형 일자집은 열무정에 행차했던 어가(御駕)가 머무는 부속건물입니다. 전경 우하각에 보이는 버드나무 밑의 논두렁과 논은 권농장(勸農場) 부근의 금원(禁苑)수전(水田)이고, 그 바로 위의 넓은 마당은 과거시험을 보는 촌당대(春塘臺)이며, 다시 그 위에 위치한 토벽의 큰 연못은 춘당지(春塘池)입니다. 그리고 그 위에 울타리를 두르고 작은 태점을 찍어 나무를 묘사한 것은 왕실에서 친잠례(親蠶禮) 행하는 채상단(採桑壇)입니다.
후경(後景)의 규장각 뒷담 동쪽 끝에 보이는 숲 속의 장방형 건물은 어수당(魚水堂)이고, 그 앞의 작은 방형 연지는 불로지(不老池)입니다. 그리고 멀리 안개 속으로 화면 상부에 묘사된 준수한 산봉우리는백악산(白岳山)으로 뻗어내려 창덕궁의 뒷산을 이룬 응봉(鷹峯)이며, 그 왼쪽으로 멀리 살짝 내비친 암산 봉우리는 삼각산(三角山)입니다. 응봉은 주산으로서의 위용을 갖추기 위하여 실제보다 다소 과장되어 묘사되었습니다. 화면 우상단에 '小臣 金弘道 奉敎謹寫'의 관서가 있는데, 관서의 묵색(墨色)묵흔(墨痕)이 그림의 묵색묵흔과 완전히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저수량체(褚遂良體)의 '金弘道' 필치가 1778년작 《서원아집도병(西園雅集圖屛)》의 '金弘道' 필치와 유사한 점, 그리고 김홍도가 1776년 5월 정조의 특명으로 혼전도감(魂殿都監)에서 영조(英祖)의 보불(黼黻)을 그릴 정도로 정조의 핵심측근에서 활동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 <규장각도>는 김홍도의 직작임에 틀림없다고 생각됩니다.
규장각도(奎章閣圖)
朝鮮時代 / 金弘道 (1796年 52歲作品) / 絹本彩色144.4 ×115.6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원 김홍도 필 모구양자도(母狗養子圖) (0) | 2011.06.18 |
---|---|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 (0) | 2011.05.02 |
단원 김홍도 필 화성팔경도 중 한정품국(金弘道筆華城八景圖中閒亭品菊) (0) | 2011.04.09 |
단원 김홍도 필 화성팔경도 중 서성우렵 (金弘道筆華城八景圖.西城羽獵) (0) | 2011.04.09 |
단원 김홍도 필 병진년화첩 제18폭 소림야수도(金弘道筆疎林野水圖) (0) | 2011.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