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는 장수한 데다가 만년에 이르기까지 趣興을 불문하고 많은 작품을 일군 작가이며 明末 이래 중국에서 크게 자리잡은 南宗畵風의 定式을 자기 그림에 反映시킴으로써 또다른 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仁谷幽居圖》는 構圖로 보아서 남종문인의 화풍이 배어 있는 작품의 하나입니다. 먼산은 積墨으로 岩壁을 표현했고 가까운 산은 米點으로 표현한 樹林 바탕에 역시 암벽이 깔려 있어서 서울 인왕산 일대의 山勢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이 그림은 서울 인왕산 동쪽 산기슭(東麓)에 있는 仁谷의 實景을 그린 것인데, 비록 소품이지만 소박한 隱者의 집이 詩情 가득히 풍기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중국적인 맛은 조금도 느낄 수 없으며 겸재가 추구하는 순수 한국의 美가 살아나고 있는 느낌입니다. 왼편 윗부분에는 「 仁谷幽居 謙齋」라는 墨書가 있습니다.
겸재 정선 필 인곡유거도 (謙齋鄭敾筆仁谷幽居圖)
朝鮮時代 / 鄭敾(1676~1759) / 紙本淡彩 /縱 27.3cm × 橫 27.5cm /澗松美術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겸재 정선 필 총석정도 ( 叢石亭圖 ) (0) | 2011.02.16 |
---|---|
겸재 정선 필 취적봉도 (謙齋鄭敾筆吹笛峯圖) 皴 (0) | 2011.02.15 |
겸재 정선 필 청풍계도 2 (謙齋鄭敾筆淸風溪圖) (0) | 2011.02.15 |
겸재 정선 필 청풍계도 1 (謙齋鄭敾筆淸風溪圖) (0) | 2011.02.15 |
겸재 정선 필 혈망봉도(謙齋鄭敾筆穴望峰圖) (0) | 2011.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