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靑銅器時代 欣岩里遺蹟 . 遺物

鄕香 2011. 1. 11. 18:45

 

京畿道 麗州郡 店東面 欣岩里유적은 1960년대에 故 金元龍 선생에 의하여 발견되었으며, 서울대학교박물관 고고학조사단은 1972년부터 장기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매년 발굴을 실시한 결과, 모두 20여기에 가까운 움집터를 확인하였고, 다수의 유물과 탄화곡물을 발견하였습니다. 집자리가 확인된 곳은 여주읍에서 상류를 따라 약 10km 떨어진 남북으로 길게 뻗은 표고 123m의 산정상부 지점이었으며, 유적은 이 산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습니다.

 

<흔암리유적 전경>

 

<흔암리5호주거지 전경>

 

<흔암리 7호주거지 수혈벽 및 출토토기 상태>

 

집자리는 남북장축의 장방형으로 풍화돤 화강암반을 ㄴ자로 파고 지붕을 씌운 것이며 포탄형의 특징적인 화덕자리가 발견되었습니다. 주거지의 내부시설에는 화덕자리, 간단한 저장구덩이, 기둥구멍 및 출입구 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12호의 주거지는 9.7m X 3.7m 크기의 장방형의 모습이며 지하로 약 60cm 정도 파 들어간 반수혈움집형태입니다. 바닥면은 편평하며 부분적으로 점토를 깔았으며, 기둥구멍, 화덕자리, 저장구덩이 등도 확인되었습니다. 기둥구멍은 다섯 줄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었는데 도합 39개의 기둥자리가 확인됨으로써 그 배치상태에 따라 당시의 집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화덕자리는 집자리 내부에서 모두 세 개가 확인되었는데, 그 중 동쪽에 있는 것은 직경이 60cm 정도의 타원형 형태의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숯이 꽉 차 있었습니다.

저장 구덩이는 모두 일곱 군데에서 확인되었는데, 남쪽에 네 개, 서쪽에는 두 개, 북쪽에는 한 개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중 가장 큰 것은 직경 75cm입니다. 여기에서는 다수의 토기, 석기, 그리고 쌀, 보리, 조, 수수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는 구멍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붉은 간토기 등이 있습니다. 

민무늬토기로는 화분형, 사발, 단지, 짧은목 토기 등이 있습니다. 

구멍무늬토기는 아가리가 넓고 깊은 사발형으로 아가리 아래에 구멍을 한 줄로 뚫고 아가리 윗면에는 새김을 하였습니다. 

붉은 간토기는 원저호와 다리가 훌쭉한 굽다리접시 형태가 있으며, 석기로는 돌칼,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돌도끼, 돌화살촉 등이 있습니다. 

흔암리유적은 동북지방의 구멍무늬토기와 골아가리토기, 서북지방의 팽이형토기의 두 계통의토기가 남하하여 접촉, 형성된 복합형토기가 나타나는 유적으로 동북지방과 서북지방 양 지역의 요소가 한꺼번에 나타나는 이른바 흔암리형토기를 만들어 사용한 독자적인 특색을 가지고 있는 유적입니다.

이 유적에서 나온 탄화미는 늦은 연대라 하더라도 연대가 최소한 기원전 7세기까지 올라가는 것들로 판명되었으며, 제14호 주거지의 탄화미를 비롯한 여러 탄화곡물류의 출토는 우리 나라 농경, 특히 벼의 재배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흔암리유적 발굴유물 토기류>

 

  

<無文土器 鉢/高48.5cm口徑44.0cm底徑11.0cm>                <孔列土器 /高29.5cm口徑26.8cm底徑9.7cm> 

 

   

<孔列土器 /高22.0cm口徑23.2cm底徑9.6cm>     <無文土器 鉢/高13.8cm口徑21.8cm底徑8.4cm> 

 

  

 

    <無文土器 鉢/高8.4cm口徑16.7cm底徑8.8cm> <無文土器 鉢/高8.3cm口徑18.5cm底徑11.5cm>     

 

  

 <無文土器 鉢/高8.2cm口徑10.2cm底徑4.4cm>   <無文土器 壺/高16.6cm口徑18.6cm底徑8.0cm>

 

 

 

  

 <민무늬토기 굽접시(無文土器 高杯)高6.5cm>       <가락바퀴(土製紡錘車)/徑4.0cm,孔徑0.6cm>

 

<민무늬토기편 각종(無文土器 鉢)/(右上)高12.6cm幅7.3cm厚0.5cm>

 

<흔암리유적 발굴유물 석기류>

 

 

<그물추 각종(漁網錘 各種)/(右上)高7.9cm 徑2.0cm>

 

<간돌검 각종(磨製石劍 各種)/(右)高27.4cm 幅6.4cm>

 

<화살촉 각종(磨製石鏃 各種)/(右下)高8.4cm 幅1.8cm厚0.7cm>

 

 

<바퀴날도끼(環狀石斧)/徑10.2cm 孔徑2.2cm>

<반달돌칼 각종 (半月形石刀 各種)/(右下)高6.5cm 幅18.3cm厚0.9cm>

<돌도끼 각종(石斧 各種)/(左下)高15.9cm 幅6.3cm厚4.4cm>

 <돌칼 각종(石刀 各種)/(左上)高9.5cm 幅4.5cm厚0.7cm>

 <숫돌 각종(砥石 各種)/(右)高11.8cm 幅6.0cm厚2.7cm>

 

<갈돌(碾石)/(左下)高15.9cm 幅6.3cm厚4.4cm> 

 

 <토제 및 석제 가락바퀴 각종(土製 . 石製 紡錘車 各種)/(右下)徑6.4cm,厚0.6cm>

 

 

 <대롱옥 각종(管玉 各種) (右)高3.5cm徑0.9cm>               <그물추 각종(漁網錘 各種)/(右)高4.5cm幅3.7cm厚0.4cm>

 

 

<불에 탄 벼 각종(炭化米 各種)>                               <불에 탄 보리 각종 (炭化麥 各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