祭器 '簠'의 형태를 쫓아 만든 곳으로 생각되며 '簠'는 몸체가 둥근 '簠'와 함께 곡식을 담는 그릇이었습니다. '簠'는 원래 네 모서리가 角을 이루어야 하나 이 魚鱗文簠는 口部만 사각이고 胴體 下部의 內外面은 曲面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대신 외면에 突帶를 붙여 四角임을 暗示하고 있습니다. 胴體의 下部에는 용도를 명확히 알 수 없는 半環形의 四耳가 붙어 있습니다.
全面에 귀얄로 백토를 입힌 후에 外面에만 비늘을 그렸는데, 사면의 구연부에서 시작된 어린문이 낮은 중앙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모양으로 표형되고 있습니다. 釉는 옅은 녹색을 띠고 있으며 외면은 얇아 약간 흐리나 내면은 유약이 몰려 푸른 맛이 진하고, 접지되는 다리밑은 갈아서 숫돌같이 반들거리며 암회색을 보입니다.
분청사기철화어린문보(粉靑沙器鐵畵魚鱗文鱗簠)
朝鮮時代 15~16世紀 / 出土地未詳 /高 7.6 cm, 口徑20.5cm, 底徑 20.0cm /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철화당초문호(粉靑沙器鐵花唐草文壺) (0) | 2010.01.13 |
---|---|
분청사기귀얄문발(粉靑沙器귀얄文鉢) (0) | 2010.01.13 |
분청사기철화어문병(粉靑沙器鐵畵魚文甁) (0) | 2010.01.13 |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花唐草文甁) (0) | 2010.01.13 |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0) | 201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