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는 거의 같은 시기에 공존하던 전기 백자와는 달이 전혀 다른 분위기를 지니고 있으며 시문기법에 따라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는데 특히 剝地 . 彫花技法은 대담한 구성과 자유분방함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는 병으로 얇게 바른 분은 동체에서 자연스러운 귀얄자국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主文樣인 어문은 대담한 생략과 해학적인 표현에서 높은 심미안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고운 회청색의 釉가 비교적 얇게 시유되었는데 견부에 일부 유가 뭉쳐 있으며 태토에 사립이 포함되어 釉面은 다소 거칩니다. 器底部는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 胎土가 드러나있어 上面과 강한 대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높은 굽의 접지면에 모래받침이 붙어 있는데 굽 안바닥은 소성 전 바닥이 터진 모양인지 釉를 가득 발라 뭉쳐져 있습니다.
분청사기조화어문병(粉靑沙器彫花魚文甁)
朝鮮 15~16世紀/高 32 cm, 口徑6.7cm, 底徑7.8cm/國立中央博物館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분청사기(粉靑沙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0) | 2010.01.12 |
---|---|
분청사기박지모란문병(粉靑沙器剝地牡丹文甁) (0) | 2010.01.12 |
분청사기박지모란문병(粉靑沙器剝地牡丹文甁) (0) | 2010.01.12 |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병(粉靑沙器剝地牡丹唐草文甁) (0) | 2010.01.12 |
분청사기박지모란당초문매병(粉靑沙器剝地牡丹唐草文梅甁) (0) | 2010.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