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高麗時代)/금속.토기(金屬.土器)

은제도금타출연당초문표형병(銀製鍍金打出蓮唐草文瓢形甁)

鄕香 2009. 3. 19. 19:26

표주박 모양의 은제에 도금한 병으로 구연부위에는 연봉 형태의 뚜껑을 만들어 끼우도록 구성되었으며 全面에 높게 돌출된 타출기법으로 섬세한 문양을 빠짐없이 시문하였습니다.

상부 몸체의 윗부분에는 연당초문을 연속으로 두르고 그 여백면에 포도송이처럼 달린 꽃무늬와 魚子文을 빽빽이 장식하였으며 하단에는 仰蓮의 기다란 연판을 둥글게 돌아가며 배치하였습니다. 잘룩한 허리는 두 줄의 띠로 처리하였고 하부 몸체 상단부에는중첩된 伏蓮의 연판을 배치한 뒤 그 아래에는 화형의 구획을 사방에 만들어 내부에는 연당초문을 고부조 타출하였습니다. 이 화형 구획사이 여백면에는 상부 몸체와 동일한 넝쿯ㅇ의 줄기와 포도송이처럼 달린 꽃무늬가 빽빽이 장식되었습니다. 이들 문양은 일면 복잡해 보이면서도 좌우 대칭의 균제미와 율동감이 잘 표현되었으며 아울러 내면에서 타출시킨 뒤 다시 외부에서 그 여백을 두드려 누르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마치 누금처럼 따로 떼어 붙인 듯 입체감이 강조 되었습니다. 이 표형병의 용도는 알 수 없지만 동일한 타출기법과 연관성을 지닌 작품들이 고려 고분의 부장품으로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은제도금타출연당초문표형병(銀製鍍金打出蓮唐草文瓢形甁)

고려12세기/높이8cm몸체지름4.7cm/국립중앙박물관所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