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시대의 곡물을 빻는 조리용 도구로, 넓고 납작한 갈판 위에 가늘고 긴 갈돌을 두 손으로 잡아 밀고 당기면서 사용한 것입니다.
갈판의 가운데는 장기간 사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마치 말안장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애초 갈판과 갈돌은 도토리처럼 단단한 열매를 가루내는 데 사용하였으나,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조·기장 등 곡물의 껍질을 벗기는 데도 사용되었으며, 서울시 암사동 집터유적에서 출토되었습니다.
갈판과 갈돌(碾石·碾石捧)
한국(韓國) 신석기(新石器) / 석(石) 길이 : cm / 서울 암사동 집터 출토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갈판과 갈돌(碾石·碾石捧) |
한국(韓國) 신석기(新石器) / 석(石) 길이 : cm / 부산시 범방 조개더미 출토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선사(先史) > 신석기시대(磨製石器간석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지개(掘址具) (0) | 2008.01.18 |
---|---|
이음낚시(結合式釣具) (0) | 2008.01.18 |
조가비 탈(貝面) (0) | 2008.01.18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0) | 2008.01.18 |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0) | 2008.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