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성양호한 흑청색의 도질제입니다.
먹을 가는 부분과 물을 담아두는 부분에 회흑색의 산화된 자연유가 부착되었습니다.
먹을 가는 곳의 평면은 원형이고 약간 들어가 있습니다. 물을 담아두는 곳의 구경부에는 국화문이 2중으로 찍혀있습니다.
벼루바닥은 예새(토기나 도자기의 몸을 다듬는데 쓰는 나무판)깎기가 되어 있고, 바닥은 편평하고 중앙부에 지름 3.8cm의 원형 홈이 있습니다.
먹을 가는 곳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인화문 문양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속합니다.
벼루바닥은 예새(토기나 도자기의 몸을 다듬는데 쓰는 나무판)깎기가 되어 있고, 바닥은 편평하고 중앙부에 지름 3.8cm의 원형 홈이 있습니다.
먹을 가는 곳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인화문 문양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속합니다.
원형 토제벼루(圓形 土製硯)
韓國 - 統一新羅 《世紀》 / ( 出土址未詳 / (硬質土器) 높이 3 cm 입지름7.5cm 바닥지름 8.5 cm / 釜山市立博物館 所藏
'신라시대(新羅時代) > 신라 유물(新羅 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두(靑銅鐎斗) (0) | 2008.01.16 |
---|---|
가릉빈가문수막새(迦陵頻伽文瓦當) (0) | 2008.01.14 |
영태이년명납석제호(永泰二年銘蠟石製壺) (0) | 2008.01.14 |
인화문토기호(印花文土器壺) (0) | 2008.01.14 |
유개합(有蓋盒) (0) | 2008.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