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대 신대왕(新大王) ?∼179(신대왕 15) >재위 165∼179
이름은 백고(伯固) 또는 백구(伯句). 태조왕의 동생, 또는 태조왕의 아들 혹은 차대왕의 아들이라는 이설도 있다.
성품이 영특하고 인자하였다고 한다.
형인 차대왕이 신민(臣民)의 지지를 받지 못하자 장차 변란이 발생하여 화가 자신에게까지 미칠까 두려워하여 산곡에 은둔하여
있다가, 차대왕이 명림답부(明臨答夫)에 의하여 살해된 뒤 좌보(左輔) 어지류(어支留) 등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삼국유사》에서는 마치 태조왕과 차대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즉위한 이듬해인 166년(신대왕 2) 대사령을 내리고 차대왕의 태자 추안(鄒安)을 양국군(讓國君)에 봉하면서 토지를 하사하기도
하는 등 반대세력의 무마에 힘쓰는 한편, 당시까지 고구려의 최고위직이었던 좌보와 우보(右輔)를 단일화하여
국상(國相)이라는 관직을 설치하고 명림답부를 이에 임명함으로써 귀족세력들의 조정, 통제를 도모하는 등
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정비에 박차를 가하였다.
그리고 176년 왕자 남무(男武)를 태자로 책봉함으로써, 왕위의 부자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재위기간 동안 후한(後漢)과의 충돌을 거듭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169년과 172년에 후한의 현도태수(玄菟太守) 경림(耿臨)의 침공 등을 받기도 하였지만,
여러 차례에 걸쳐 요동군을 공격하여 후한의 압박을 분쇄하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서방으로의 진출을 계속 추진하였다.
또, 169년에는 대가(大加) 우거(優居)와 주부(主簿) 연인(然人)을 파견하여 당시 요동·요서지역에서 신흥세력으로 등장하던
공손탁(公孫度)을 도와 부산적(富山賊)을 치게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공손탁의 독립세력으로서의 등장이 190년 이후이므로 아마도 이것은 후대의 사실이 신대왕 때의 사건으로
잘못 전하여진 것이 아닌가 한다. 179년 91세로 죽자 고국곡(故國谷)에 장사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後漢書 .三國志 .高句麗國相考(盧重國, 韓國學報 16·17, 1979)
<제9대 고국천왕(故國川王)?∼197 > 재위 179∼197(또는 199)
이름은 남무(男武). 국양왕(國襄王) 또는 국양왕(國壤王)이라고도 한다. 신대왕(新大王)의 둘째아들이다.
176년(신대왕 12)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신대왕이 죽은 뒤 국인(國人)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였다.
184년 후한 요동태수의 침입을 격퇴시키는 등, 고구려사회의 성장을 저지하는 외부세력의 압력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갔다.
다른 한편, 180년 제나부(提那部, 椽那部) 우소(于素)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왕비족과의 결탁을 통한 왕권지지기반을
확대함으로써, 초부족적 지배질서의 수립과 왕권강화에 힘썼다.
190∼191년에 걸친 좌가려(左可慮)와 어비류(於卑留)의 난을 진압하였고, 194년 진대법(賑貸法)을 실시하여 궁핍한 농민들에
대한 구휼책을 마련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해나갔다. 그러한 진대법의 실시는 왕권에 대항하는 세력들과 농민들과의 결탁을
저지함은 물론, 농민들을 적극적으로 포섭하려는 정책적인 배려였다. 그리고 그러한 정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 위하여
지배세력 내의 많은 반발에도 불구하고, 191년 을파소(乙巴素)를 국상(國相)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고국천왕 때를 계기로 왕위계승 방법이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의 전환을 가져왔으며,
또 부족명을 의미하는 부명(部名)이 단순한 방위명(方位名)으로 변화를 보이는 사실 등은 고국천왕 때에 있어
왕권 및 초부족적 지배질서의 강화를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런데 신대왕 백고(伯固)가 죽은 뒤 왕위를 계승한 것은
산상왕 이이모(伊夷模)라는 《삼국지》 고구려전 등의 중국측 기록에 입각하여, 고국천왕의 실재를 부인하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고국천왕 당시는 중국이 황건적(黃巾賊)의 난과 군웅할거 등으로 말미암아 일대 혼란기였으므로,
주변지역에 대한 중국측 기록의 신빙성에도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왕의 장지는 고국천원(故國川原)이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高句麗王妃族考(李基白, 震檀學報 20, 1959)
< 제10대 산상왕(山上王)?∼227(산상왕 31)> 재위 197∼227
이름은 연우(延優) 또는 이이모(伊夷模)이다. 《삼국사기》에는 일명 위궁(位宮)이라 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산상왕의 아들인 동천왕의 일명이므로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신대왕의 아들이며 고국천왕의 동생인 그는
고국천왕이 후사 없이 죽자 고국천왕의 왕비 우씨(于氏)를 비롯한 귀족세력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다.
왕비는 형수였으며 즉위에 공이 많았던 제나부(堤那部, 椽那部· 絶奴部?) 출신의 우씨인데,
그와 우씨의 결합은 형이 죽으면 형수를 취하여 산다는 취수혼(娶嫂婚, levirate)의 구체적 실례로서 유명하다.
소후(小后)는 관노부(灌奴部) 주촌통(酒村桶) 출신으로서,
209년(산상왕 13) 그녀와의 사이에서 태자 교체(郊체:뒤의 東川王)를 낳았다.
즉위하던 해인 197년 형인 발기(發岐, 또는 拔奇)가 형이면서도 왕이 되지 못한 것을 원망하여 소노부(消奴部) 세력과
더불어 모반하였을 뿐만 아니라, 요동지방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위세를 떨치고 있던 공손씨(公孫氏)의
군대까지 끌어들여 수도를 공격하자, 동생 계수(계須)를 시켜 이를 물리쳤다.
이렇듯 발기를 도와 고구려의 분열을 조장하는 등 고구려의 성장을 저지하고자 하던 공손씨와의 긴장관계가 재위기간
계속되어, 공손씨의 영역인 현도군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또, 217년 중국 평주(平州:요동·요서지방) 출신의 하요(夏瑤) 등 1,000여호의 투항을 받아들여 책성(柵城:지금의 琿春)에
안치하였다고 하는데, 당시 중국에 평주라는 지방단위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았던 만큼 여기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으나,
하요 등을 공손씨 세력권내의 주민이라 볼 경우 이를 통하여 공손씨와의 대립관계의 일면을 짐작해볼 수도 있다.
한편, 198년 환도성(丸都城: 지금의 輯安)을 쌓고 209년 이곳으로 천도하였다고 하는데,
이에 따라 고구려의 집안천도를 산상왕대의 사실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이를 부인하는 견해도 있다.
227년 5월에 죽어 산상릉(山上陵)에 장사하였다.
《삼국사기》 권16 고구려본기 제4에 수록되어 전하는 〈산상왕설화〉는
정사(正史)의 산상왕에 대한 기록 속에 포함되어 있는데, 즉위설화(卽位說話)와 후사설화(後嗣說話)로 나누어진다.
즉위설화는 산상왕의 왕위획득에 따르는 왕실 내의 정치적 갈등을, 후사설화는 왕후가 아들을 낳지 못하자
주통촌(酒桶村)의 미녀와 관계하여 후사를 얻는 과정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설화는 고구려 초기 왕위와 후사를 둘러싼 왕실의 이야기가 후대에 전승되면서 설화화한 것이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志.
< 제11대 동천왕(東川王)209(산상왕 13)∼248> 재위 227∼248
‘동양왕(東襄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우위거(憂位居)’ 또는 ‘위궁(位宮)’인데,
위궁이라는 이름은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능히 사물을 본 것이 할아버지 뻘인 태조왕 궁(宮)을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 한다. 아명은 교체(郊체)이다.
산상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관노부(灌奴部) 주통촌(酒桶村) 출신의 산상왕 소비(小妃)이다. 성품은 관대, 인자하였다.
213년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부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재위기간의 전반기에는 라오둥지방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치고 있던
공손씨(公孫氏)와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그래서 한 때 공손씨에게 배반당한 오(吳)나라와 연결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234년 공손씨의 배후에 위치한 위(魏)나라가 화친을 희망해오자 236년에는 오나라 사신의 목을 베어 보냈으며,
237년에는 위의 연호 개정을 축하하는 사신을 파견하는 등 위나라와의 관계를 강화하여,
마침내 238년에는 위나라 군대를 도와 공손씨세력을 멸망시켰다.
그러나 공손씨 세력 멸망 이후 위나라와 국경을 접하게 됨에 따라 위와의 긴장이 고조된다.
그래서 242년에는 위의 서안평현(西安平懸)을 선제공격했지만, 244년과 245년 두 차례에 걸쳐 위나라 유주자사(幽州刺史)
관구검(毌丘儉)의 침입을 받아 수도인 환도성(丸都城)을 함락당하고 남옥저를 거쳐 북옥저방면으로까지 패주하였다가,
밀우(密友)·유유(紐由) 등의 활약으로 겨우 이를 몰아냈다.
이 전쟁으로 환도성이 파괴되어 247년 평양성(平壤城:平北 江界?)으로 일시 천도하기까지 했다.
또, 《삼국사기》에 의하면 245년 신라 북변을 공격했다던지 248년 신라와 화친관계를 수립했다는 등 재위 동안 신라와
일정한 교섭이 있었다고 하나, 당시의 상황으로 미루어 믿기 어려운 면이 있다.
248년에 왕이 죽으매 왕의 은덕을 사모하여 장례일에 따라 죽은 사람이 많았는데,
나라사람들이 나무〔柴〕로 죽은 사람들을 덮어주었기 때문에 장지를 시원(柴原)이라 했다고 한다.
현재 평안남도 강동군 마산면에 동천왕릉이라 전해지는 고구려 봉토분이 있다고 하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平壤附近にをける高句麗時代の墳墓及繪畵(關野貞, 朝鮮の建築と藝術, 1941)
魏の東方經略と扶餘城の問題(和田淸, 東亞史硏究 滿洲篇, 1955).
< 제12대 중천왕(中川王)224(산상왕 28)∼270(서천왕 1)> 재위 248∼270
일명 중양왕(中壤王). 이름은 연불(然弗). 동천왕의 아들이다. 243년(동천왕 17) 태자가 되었고, 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외모가 준수하고 지략이 있었다고 한다. 왕비는 연나부(椽那部) 출신으로 짐작되는 연씨(椽氏)이다.
즉위와 더불어 동생 예물(豫勿) 등이 모반하자 이들을 처형하고 왕위를 지켰다. 250년(중천왕 3) 국상(國相) 명림어수
(明臨於漱)로 하여금 군사관계의 일도 아울러 관장하게 하여 국상의 군사·행정상의 권한을 강화해주었다.
251년 왕비 연씨와 더불어 왕의 총애를 다투던 관나부인(貫那夫人)의 투기가 심하자 서해바다에 수장하여 처형하였다.
254년 명림어수가 죽자, 비류패자(沸流沛者) 음우(陰友)를 국상에 임명하였다.
255년 왕자 약로(藥盧:뒤의 西川王)를 태자로 삼았고,
한편 다음해에는 공주를 연나부출신 명림홀도(明臨笏都)에게 시집보냈다.
259년 중국 위(魏)나라 위지해(尉遲楷)가 침략해오자 태자하(太子河) 상류로 추정되는 양맥지곡(梁貊之谷)에서 격파하였다.
260년 졸본(卒本)으로 가서 시조묘(始祖廟)에 배알하였다. 재위 23년 만에 죽자 중천지원(中川之原)에 장사지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高句麗王妃族考(李基白, 震檀學報 20, 1959)
< 제13대 서천왕(西川王)?∼292(서천왕 23)> 재위 270∼292
‘서양왕(西壤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약로(藥盧) 혹은 약우(若友)라고 하였다.
중천왕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255년(중천왕 8)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성품이 총명하고 인자하여 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왕비는 서부대사자(西部大使者) 우수(于漱)의 딸이다.
271년(서천왕 2) 국상 음우(陰友)가 죽자 그의 아들 상루(尙婁)를 국상으로 삼았고,
273년에는 기근이 들자 창고를 열어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276년과 288년에는 신성(新城)에 행차하였는데, 이는 신성의 군사적 위치가 중요하였던 것을 보여주는 사실이다.
280년 숙신(肅愼)이 침입하여 오자 동생인 달가(達賈)로 하여금 반격하게 하여 단로성(檀盧城)을 함락시키고 추장을 죽였으며,
나아가서 숙신인 600여가를 부여 남쪽의 오천(烏川)에 집단이주시켰고 항복한 부락 6, 7개소를 부용(附庸)하게 하였다.
이 전과로 인하여 달가를 안국군(安國君)에 봉하고 군사관계 일을 관장하게 하였으며, 또한 양맥(梁貊) 및 숙신의 여러 부락을
통솔하도록 하였다. 286년에는 왕위를 찬탈하려던 동생인 일우(逸友)와 소발(素勃)을 처단하였다.
292년에 죽으니 ‘서천지원(西川之原)’에 장사하였다.
한편 서천왕릉은 296년(봉상왕 5)에 모용씨(慕容氏)의 군대가 고구려를 침입하였을 때 도굴되었다.
《삼국사기》 봉상왕본기에는 그때 작업하던 자들이 갑자기 죽고 무덤 안에서 음악소리가 울려나와 이를 두려워한 모용씨의
군사들은 고구려로부터 철수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제14대 봉상왕(烽上王)?∼300(봉상왕 9)> 재위 292∼300
일명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상부(相夫) 또는 삽시루(歃矢婁)라 하였다.
서천왕의 아들로 태어나 부왕이 죽자 왕위를 계승하였다. 어려서부터 교만하고 의심이 많았다.
왕위에 오르자 곧 왕권의 강화에 주력, 숙신(肅愼)을 격파하여 국민의 존경을 받고 있던 숙부 달가(達賈)를 죽였고,
293년(봉상왕 2)에는 동생 돌고(돌固)를 죽였으며, 피신하고 있던 돌고의 아들 을불(乙弗:뒤의 美川王)까지 집요하게
추적하는 등 자신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세력들을 제거하였다.
또한 왕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계속된 흉년에도 불구하고 298년과 300년에 궁실을 대규모로 증축하였다.
한편 대외적으로는 중국의 다링강(大凌河)하류 방면에서 일어나 세력을 확장해가던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와 충돌하였다. 293년과 296년 모용외군의 침략을 받았는데,
293년에는 신성태수(新城太守)인 북부소형(北部小兄) 고노자(高奴子)의 활약으로 이들을 격퇴하였고, 296년에는 침략군이
고국원(故國原)에 이르러 서천왕릉을 도굴하려다가 무덤 속에서 음악소리가 들리자 놀라서 스스로 물러갔다. 그런데 이같은
사실들은 당시 모용외의 세력이 아직 요하(遼河)를 넘지 못하였기 때문에 그 사실성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300년에 가뭄으로 백성들이 굶주리는 가운데 왕이 궁실을 수리하려고 백성을 징발하려 하자,
당시의 국상(國相)인 창조리(倉助利)는 그 부당함을 간하였으나, 왕은 듣지 않고 오히려 창조리를 죽이려 하였다.
이에 창조리는 다른 신하들과 왕을 폐위할 것을 모의하였다.
왕은 사태가 돌이킬 수 없는 것을 알고 두 아들과 더불어 자살하였고 봉산원(烽山原)에 묻혔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晉書 .高句麗國相考 上(盧重國, 韓國學報 16, 一志社, 1979)
'고구려시대(高句麗時代) > 역대왕사(高句麗歷代王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句麗 歷代 王 제22대 안장왕(安臧王)~제28대 보장왕(寶藏王) (0) | 2008.01.03 |
---|---|
高句麗 歷代 王 제15대 미천왕(美川王)~제21대 문자명왕(文咨明王) (0) | 2008.01.03 |
高句麗 歷代 王 1代(東明聖王) ~ 7代 (次大王) (0) | 2006.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