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新羅時代)/신라 유물(新羅 遺物)

금제허리띠(金製腰帶) (허리띠)

鄕香 2007. 10. 8. 15:08
대(帶)는 구(具)와 28매의 간략화된 당초문(唐草文)을 투조(透彫)한 방형(方形) 판(板)과 단금구(端金具)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판(板)은 하단(下端)에 경첩을 이용하여 심엽형투조판(心葉形透彫板)을 매달았으며 판(板)에는 가장자리와 중간에 각각 3개씩의 못으로 배면(背面) 내피(內皮)를 고정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구(具)는 당초문(唐草文) 모양의 비교적 긴 형태(形態)로 앞고리가 제작(製作)되었고 'T'자형(字形)의 침(針)이 달려 있습니다.
판(板)과 심엽형(心葉形) 투조판(透彫板)에는 원형(圓形) 영락(瓔珞)이 달려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 심엽형(心葉形)
투조판(透彫板)에만 관찰됩니다. 단금구(端金具)에는 상하단(上下端)과 중간(中間)에 다수의 원형(圓形) 영락(瓔珞)이 달려 있습니다.  
요대(腰帶)는 왼쪽부터 금(金)을 두부(頭部)에 씌운 곡옥(曲玉), 금제곡옥(金製曲玉), 장방형(長方形) 금판(金板), 어형(魚形) 금판(金板), 금장도(金粧刀), 장방형(長方形) 금판(金板), 투조도자병형금판(透彫刀子柄形金板)이며 오른쪽부터 금제곡옥(金製曲玉),
장방형(長方形) 금판(金板), 대형(大形) 금판(金板), 장방형(長方形) 금판(金板) 2개, 금침통(金針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띠드리개의 타원형(楕圓形) 금판(金板)은 중심부(中心部) 상하단(上下端)에 장방형(長方形) 돌출부(突出部)를 내어 구멍을 뚫어
방형금판(方形金板)에서 나온 촉을 구멍에 끼어넣고 말아서 방형금판(方形金板)에 금못을 박아 고정시켰으며 이들 띠드리개 중

대형(大形) 1개는 표면(表面)에 다량의 원형(圓形) 영락(瓔珞)이 달려 있습니다.

 

 

 

 

《금제허리띠(金製(銙鉤)腰) 국보192호

韓國 新羅 / (上右)慶北 慶州 出土(皇南大塚北墳) / 長120cm 3.6cm / 國立慶州博物館 所藏

참고문헌『황남대총북분발굴조사보고서(皇南大塚北墳發掘調査報告書)』, 도판(圖版)9. 도판(圖版)102, 103-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