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곽묘는 규모가 크므로, 여기에 많은 물건을 부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지요.
대체로 시신을 담는 목관과 시신과 부장품을 보호하기 위한 목곽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목관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곽묘의 출현에는 계급 사회의 형성이 그 기반이 됩니다.
영남 지역의 목곽묘는 2세기 중.후엽(中.後葉)에 후기와질토기와 함께 출현하는데
앞 시기의 목관묘와는 묘의 규모뿐만 아니라 부장품의 내용에서도 큰 차이를 지닙니다.
그리고 입지에서도 신분에 따른 차이가 크고, 무기와 농.공구류를 비롯한 대량의 철기와 토기,
칠기, 구슬류 등이 부장됩니다. 형태는 장방형인데,
초기의 것은 방형에 가까우나, 시기가 늦을수록 길어져 세장방형이 됩니다.
3세기 후반부터는 부곽이 발생하고 경주와 김해-부산, 함안 등 각 지역별로 독특한 지역색을 지닙니다.
이러한 목곽묘는 묘제와 부장품을 통하여 당시 세력 규모나 사회 관계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영천 어은동 유적 永川 漁隱洞 遺蹟>
금호강 남안의 구릉 남사면에 위치하며, 유물의 출토 상태는 불확실 하지만 단순한 구덩이에서 나왔다고 하므로 목관묘로 추정됩니다. 유물로는 한경을 비롯해 방제경.마.호형대구..동물장식. 마구 등의 청동유물이 특징인데,
중국.북방문화의 요소를 함께 역보게 합니다. 유적의 연대는 한경으로 보아 1세기 무렵으로 추정됩니다.
대구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는 이곳에서
북쪽 문화를 수용하여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가는 양상을 잘 볼 수 있습니다.
(마형.호형대구 馬形.虎形帶鉤)
永川 漁隱洞 遺蹟 길이22.4cm (國立中央博物館)
(청동마.녹두 靑銅馬.鹿頭)
永川 漁隱洞 遺蹟 높이3.2cm (國立中央博物館)
와형동포 蛙形銅泡
永川 漁隱洞 遺蹟 길이0.8cm (國立中央博物館)
(한경.방제경.청동사엽문장식.漢鏡.倣製鏡.靑銅四葉文裝飾)
永川 漁隱洞 遺蹟 지름 10.3cm (國立中央博物館)
<경주 조양동 38호묘 . 慶州 朝陽洞38號墓>
경주 조양동유적은 낮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동기시대 주거지과 함께 초기철기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각종 무덤들이 조사되었습니다. 이 중 38호 목관묘에서는 조합삭우각파수부호.주머니호 등의 토기.철기와 더불어 일광경(日光鏡).소명경(昭明鏡).사유경(四乳鏡) 등 중국 전한대의 청동거울이 출토되었습니다.
이러한 유물들로 보아 이 무덤은 기원후 1세기로 편년되고 있으며, 조양동38호는 사로국단계에 해당하는
무덤으로 신라 초기국가가 태동하려는 힘을 느끼게 하는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한경. 漢鏡)
慶州 朝陽洞38號墓 지름 7.8cm (國立慶州博物館)
주머니호.조합식우각파수부호(壺.組合式牛角把手附壺)
慶州 朝陽洞38號墓 높이 27.9cm (國立慶州博物館)
<경주 사라리 130호묘 . 慶州舍羅里 130號墓>
경주시 서면 나즈막한 구릉에 있는 목관묘입니다.
묘광과 목관 사이에 점성이 강한 흙을 작은 갠돌과 섞어 채웠으며 목관 바닥에는
70점의 판상철부를 7열로 깔았습니다.목관 위에서는 8자형 동기.재갈.와질토기가,
목관과 묘광 사이에서는 쇠솥.토기류가, 목관 안에서는 동검.철검.청동팔찌.호형대구.청동거울이
출토되었습니다. 목관 아래에서는 다호리 1호 무덤과 마찬가지로 요굉이 조사되었으며
그 안에서는 유기물의 흔적이 일부 확인되었습니다.
묘광의 규모나 껴묻거리의 양으로 보아 목곽묘로 바꾸어가지 직전의 단계로
대략 1세기말에서 2세기초에 편년됩니다.
(慶州舍羅里 130號墓)
호형대구(虎形帶鉤)
慶州舍羅里 130號墓.길이22.8cm (嶺南埋葬文化財硏究院)
동검.청동장식 (銅劍.靑銅裝飾)
慶州舍羅里 130號墓.길이22.9cm (嶺南埋葬文化財硏究院)
재갈.장식(銜.裝飾)
慶州舍羅里 130號墓.길이21.6cm (嶺南埋葬文化財硏究院)
옹.주머니호.장경호(甕.壺.長頸壺)
慶州舍羅里 130號墓.높이17.1cm (嶺南埋葬文化財硏究院)
철검.방제경(鐵劍.倣製鏡)
慶州舍羅里 130號墓.높이50.9cm (嶺南埋葬文化財硏究院)
(慶州舍羅里 130號墓 銅劍 出土狀況)
<김해 양동리 . 金海 良洞里 427號墓>
구릉 하단부에 조성된 길이 2m 너비 60cm의 정형적인 목관묘로 장축은 동서방향으로
등고선 방향과 직각을 이룹니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방제경 3점과 동검 1점 그리고 목걸이 1련은 당시 지배층을 상징하는 검.경.옥(劍.鏡.玉)으로 피장자의 신분을 시사해 줍니다.
방제경 3점은 모두 일광경계(日光鏡系)이며 동검은 이른바 변형한국식동검으로 낙동강 하류 지역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유물들로 미루어 기원후 2세기 전반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동검.방제경.옥 靑銅劍.倣製鏡.玉
金海 良洞里 427號墓 길이35.7cm (東義大學校)
<천안 청당동 유적.天安 淸堂洞 遺蹟 >
충남 천안시 청당동의 낮은 구릉상에 형성된 무덤유적입니다.
무덤은 주로 느선의 경사면에 만들어 졌으며 묘광의 위쪽에는 말발굽 혹은 ∩자모양의 주구(周溝)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들 무덤에서는 토기와 청동제마형대구(靑銅製馬形帶鉤).곡봉형대구(曲棒形帶鉤).철기.구슬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출토된 토기는 단경호와 심발형토기가 조합을 이루어 서북한지방의 목관묘유적과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청동제마형대구는 충청도 일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마한의 특징적 유물이며
중국계 곡봉형대구는 중국과의 교류가 이 지역에서도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마형.곡봉형대구. (馬形.曲棒形帶鉤)
天安 淸堂洞 遺蹟 길이14.4cm (國立中央博物館)
경식.(頸飾)
天安 淸堂洞 遺蹟 너비1.2 cm (國立中央博物館)
심발형토기.단경호(深鉢形土器.短頸壺)
天安 淸堂洞 遺蹟 길이13.6 cm (國立中央博物館)
<청원 송대리유적.淸原 松垈里 遺蹟>
충북 청원군 오창면 송대리의 낮은 구릉상의 신사면에 형성된 토광묘유적으로 지형에 따라 등고선과
나란하게 만들었습니다. 모두 56기가 조사되었는데, 이 중 2기에서는∩자 모양의 주구가 확인되었습니다.
껴묻거리는 주변의 천안 청당동.청주 송절동.공주 하봉리 유적에서와 같이 단경호와 심발형토기가
공반된 양상을 보입니다. 다만 유물 부장부에 큰항아리 한점씩이 부장된 경우가 특이합니다.
토기.철기 외에 청동제와 철제의 마형대구도 출토되었습니다.
특히 철제마형대구는 철로 만든 드문 예로서 주목됩니다.
청원 송대리 25호묘 유적 (淸原 松垈里 25號墓 遺蹟)
동탁.마형대구(銅鐸.馬形帶鉤)
淸原 松垈里 31. 9號(文化財保護財團)
철제마형대구(鐵製馬形帶鉤)
淸原 松垈里 53號 (文化財保護財團)
경식.(頸飾)
淸原 松垈里 12.5.7號 너비1.0cm (文化財保護財團)
심발형토기.파배(深鉢形土器.把杯)
淸原 松垈里 43.3號 cm (文化財保護財團)
각종 철기(各種 鐵器)
淸原 松垈里 28.9 cm (文化財保護財團)
환두대도(環頭大刀)
淸原 松垈里 . 天安 淸堂洞 遺蹟 (文化財保護財團 . 國立中央博物館)
<제천 양평리 즙석식 적석묘 . 堤川 陽坪里 葺石式積石墓>
남한강변의 충적대지에 자연시구를 이용하여 2~5겹 가량 냇돌을 쌓은 적석묘(積石墓)로 2基가
조사되었습니다. 이 중 4개 가량의 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이 확인된 2호분의 경우 중도(中島)적석총과는 달리 경질 무문토기가 보이지 않으며 회청색 타날문(打捺文)토기만 출토 되엇습니다.
철기류로는 철부.환두도.철촉.철착.철겸 등이 보입니다.
(堤川 桃花里 . 陽坪里遺蹟 一括遺物)
높이 22.7cm (서울大學校)
<단경호.短頸壺>
堤川 陽坪里 높이 16.7cm (서울大學校)
<즙석식적석묘.葺石式積石墓>
즙석식적석묘는 강가에 면한 충적지대지 상의 눈에 잘 띄는 높은 언덕을 이용하여
그 위에 강돌을 쌓아 올린 무덤으로
한강 및 임진강 유역의 춘천 중도,양평 문호리, 제천 양평리.도화리, 연천 삼곶리 등지에서 조사되었습니다.
즙석식적석묘는 다듬지 않은 강돌로 무덤을 축조하고 묘곽의 바닥이 지면위에 있고
수혈식묘곽을 만든 점 등에서 미루어 고구려 적석총의 구조적 특징을 계승하고 있지만,
강안과 연한 충적대지상의 좋은 전망을 가지는 곳에 조영되며
무덤이 외형상 방형.장방형을 고수하고 있지 않고 무덤 보호시설이 따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고구려의 적석총과는 구별됩니다.
參考 : 韓國古代國家形成
'선사(先史) > 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변한문화의 전개 2 (辰 .弁韓文化의 展開 2 ) (0) | 2007.07.27 |
---|---|
진.변한문화의 전개 1 (辰 .弁韓文化의 展開 1 ) (0) | 2007.07.27 |
철기문화유적지. 유물(鐵器文化遺蹟址.遺物) (0) | 2007.06.22 |
김해 양동리 고분 유적 (0) | 2007.06.22 |
三韓 成立期의 展開 (0) | 200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