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진.변한문화의 전개 2 (辰 .弁韓文化의 展開 2 )

鄕香 2007. 7. 27. 12:24

 

삼한초기에 출현하는 목관묘에는 청동기와 철기.무문토기와 함께 새로운 양식의 토기인 와질토기가 매납되고 있습니다.

목관묘의 주체부는 통나무관 또는 板材棺이 사용되며 관밑에 요갱이라는 구덩이를 파고 부장품을 넣기도 하였습니다. 요갱은 북쪽의 낭랑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중국의 황하이남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이 시기의 목관묘는 낮은 평지에 조성하고 있어 상위무덤과 하위무덤의 구별은 입지보다는 부장품의 양이나 질의 차이를 통해 가능합니다.목관묘에서 출토되는 전기와질토기는 조합식우각형파수부장경호와 주머니호가 기본적인 형태이나 원저단경호도 보입니다.전자는 기형으로 보아 무문토기의 전통을 가진 것이지만 원저단경호는 타날에 의한 제작기법으로 보아 외래의 제도술의 도입에 의해 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2세기경에는 목곽묘가 등장합니다. 영남지방에서의 후기와질토기와 목곽묘의 출현시기를 알 수 있는 것은 김해 양동리의 162호 무덤입니다. 여기에서 출토된 와질토기는 토기형식상 가장이른 후기형식이므로 이 무덤이 最古의 목곽묘가 됩니다. 부장된 중국제 거울인 後漢鏡과 倣製鏡의 제작연대로 보아 2세기 후반대의 무덤으로 간주됩니다. 즉 이 시기가 영남지방 후기와질토기와 목곽묘의 출현시기인 셈입니다. 이 지역의 목곽묘는 묘광이 장방형을 띠고 부부합장이 거의 없어 낙랑지역의 목곽묘와 구분되는 독자성이 두드러집니다. 여기에서는 이전의 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와 주머니호에 대신해서 臺附長頸壺.爐形土器 등 새로운 형태의 와질토기가 나타납니다. 반면에 철기는 이전부터 사용한 판상철부.주조.단조철부.따비.재갈 등이 계속 사용되고 있으나 철삽이나 쇠스랑과 같은 새로운 철제농구와 환두대도, 유경식有莖式 철촉 등의 새로운 무기가 출현합니다. 이와 같이 목곽묘는 앞 시기의 목관묘 문화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요소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초기의 목곽묘는 경주에서 김해에 이르는 동남해안지역에서 무덤의 구조와 출토유물의 양상이 비슷합니다. 이에 비해 대구 팔달동유적의 무덤은 異穴合葬에다가 목곽 내부에 목관이 있는 양식이며 동남해안지역과 양상을 달리합니다. 출토유물에 있어서도 동남해안지역과는 일정한 차이가 보입니다.

한편 고령의 盤雲里출토 와질토기와 대구 鳳舞洞 출토 토기투껑은형태와 문양이 비슷한 점으로 보아 영남 내륙지역은 영남 동해안지역과는 다른 문화 양상을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김해 양동리 162호 목곽묘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

구릉 하단부에 조성된 길이 500cm. 너비340cm.의 대형 목곽묘입니다.

검.경.옥(劍.鏡.玉)의 위신재를 갖춘 수장급의 무덤으로 2면의 한경과 8면의 방제경 철검 6점을 비롯한

각종 철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묘광의 바닥 네모서리에는 각각 10개씩의 판상철부가 깔려 있었습니다.

이 무덤에서 출토된 한경과 철복 등의 유물은  변한의 대외관계를 시사하는 주요한 유물입니다.

이 무덤은 낙동강 하류역의 대형 목곽묘로는 이른 시기의 것으로

기원후 2세기 후반에 만들어 진 것으로 보입니다.

 

 

(김해 양동리 162호 목곽묘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철촉.철모.철검.환두대도 鐵鏃.鐵鉾.鐵劍.環頭大刀)

金海 良洞里 124-162號木槨墓 길이 51.2cm (東義大學校) 

 

 

 

(한경.방제경.漢鏡 倣製鏡)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지름 11.5cm (東義大學校)

 

(대부장경호.臺附長頸壺)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높이25.3 cm (東義大學校) 

 

 

(경식.頸飾)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지름 1.8cm (東義大學校)

 

 

 (재갈.銜)

金海 良洞里162號木槨墓 길이19.5 cm (東義大學校)

 

(주머니호.壺)

昌原 茶戶里 20號 높이14.2cm (國立中央博物館)

 

 

 (주머니호.壺)

昌原 茶戶里 64號 높이17.2cm (國立中央博物館)

 

 

 (대부주머니호.臺附壺)

昌原 茶戶里 69號 높이13.9cm (國立中央博物館)

 

 

(우각파수부호.牛角把手附壺)

昌原 茶戶里 69號 높이24.9cm (國立中央博物館)

 

 

(조합식우각형파수부대부호.組合式牛角形把手附臺附壺)

金海 大成洞 1-13號 높이42.6 cm (慶星大學校)

 

 

유개대부호.有蓋臺附壺)

釜山노浦洞31號 높이30.5cm (釜山大學校)

 

 (경식.頸飾) 

金海 良洞里200號木槨墓 지름 3.3 cm (東義大學校)

 

 

 參考 : 韓國古代國家形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