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약縮約된 평저平底의 낮은 굽, 장란형長卵形의 부풀은 동체부胴體部와 짧은 외반구연外反口緣을
특징으로 하는 무문토기로남한지방 최대의 무문토기시대 취락지역인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어 새롭게 설정된 形式입니다.송국리형토기는 무문토기발無文土器鉢과 長頸壺.鉢.豆등의
적색마연토기와 공반되고 있습니다.토기의크기는 높이가 20~40cm정도가 일반적이나
높이 10cm의 소형에서 80cm에 이르는 대형도 있습니다. 송국리형토기는
無文土器文化 中期에 錦江流域에서 발생하여 松菊里形文化의 확산과 함께
서남부지방으로 전파되며 洛東江以西의 서부 영남지방에서도 발견됩니다.
(無文土器壺)
夫餘 松菊里住居址.高45.7cm(國立中央博物館)
(松菊里形土器 各)
<甕棺>
송국리형옹관은 송국리형토기를 바닥에 구멍을 뚫어 유아용의 옹관으로 전용한 것으로
송국리형 문화의 한 특징입니다.
옹관의 매장방식은 대부분직립장 直立葬의 석개직장단옹식石蓋直葬單甕式)이며
옹관을 묻기 위한 토광土壙은 이단식二段式의 구조를보이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동체부胴體部에 구멍을 뚫은 옹관을 비스듬하게 눞혀묻은 것도 있으며,
옹관을 안치하고 옹관의 주위에 보호석護石을 돌리거나 뚜껑돌을 받치기 위한 굄돌을 놓은 것도 있습니다.
최근 익산 석천리에서 출토된 옹관은 전형적인 송국리형토기에 구순각목口脣刻目이 이루어져 주목됩니다.
夫餘 松菊里 . 高46.8cm(國立夫餘博物館)
<夫餘 松菊里 독널>
<부여 송국리 독무덤 도면>
'선사(先史) >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末期 無文土器 (끝말기 민무늬토기) (0) | 2007.06.22 |
---|---|
粘土帶土器 (덧띠토기) (0) | 2007.06.22 |
豆滿江流域의 無文土器(두만강유역 민무늬토기) (0) | 2007.06.22 |
南韓의 無文土器 器種(민무늬토기 종류) (0) | 2007.06.22 |
孔列文土器 . 口脣刻目土器 .(공열무늬토기.구순각목토기.팽이형토기) (0) | 2007.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