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終.末期 無文土器 (끝말기 민무늬토기)

鄕香 2007. 6. 22. 16:24

 

 

무문토기시대 종말기는 연대로는 기원전 2세기 부터 기원전후 무렵까지로

남부지방에서는 늑도식(勒島式)토기로 대표되어집니다.

이 시기에는 후기의 요소가 아직 남아 있으나

새로운 철기의 도입에 의해 석기는 소멸되고 청동기는 형식화 됩니다. 

또한 무문토기는 후기의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와 고리손잡이(環狀把手附)토기.흑색토기.굽다리접시 등이

계속 출토되며 새로이 시루(甑)도 출현하게 됩니다.

한편 粘土帶土器는 아가리띠(點土帶)의 자름면이 세모꼴로 바뀌어집니다.

늑도식토기에는 독.바리.항아리.두(豆)모양토기.뚜껑.시루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들 토기들은 

이른바 김해기로 불리우는 조개더미유적으로 황.적갈색 연질토기와 비슷하나 겉면에 두드림무늬(打捺文)가

 보이지 않으며 그릇의 종류 및 아가리와 바닥의 형태에서도 다소 차이가 나타납니다.

한편 늑도유적에서 출토된 야요이(彌生)중기의 토기는

당시에 일본과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자료가 됩니다.

 

 (無文土器壺)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36.4cm (釜山大學校)

 

(無文土器壺)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24.6cm (釜山大學校)

 

 

 (無文土器壺)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26.7 cm (釜山大學校)

 

 

(無文土器高杯)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14.4cm (釜山大學校)

 

 

(粘土帶土器)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40.8cm (釜山大學校)

 

 

(粘土帶土器)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右)25.2cm (釜山大學校)

 

 (粘土帶土器)

三千浦 勒島住居址. 高(右)23.4cm (釜山大學校)

  

 

(無文土器豆)

光州 新昌洞 沼澤址. 高 30.0cm (國立光州博物館)

  

 

(甑)

光州 新昌洞 沼澤址. 高 21.7 cm (國立光州博物館) 

 

 

(甑 底部)

 

(土器蓋)

光州 新昌洞 沼澤址. 高 21.7 cm (國立光州博物館) 

 

 

 (甑)

出土址未詳. 高 27.6 cm (國立慶州博物館)

 

 

 (甑底部)

 

(合口式甕棺)

光州 新昌洞 沼澤址. 長(右)40.8 cm (國立光州博物館)

 

 

 (合口式甕棺)

 三千浦 勒島住居址. 長(右)37.0cm (釜山大學校)

 

 

豆形土器

 大邱 八達洞. 高(右)18.8 cm (國立慶州博物館)

 

 

長頸壺. 臺附盌 

大邱 八達洞. 高(右)28.4cm (國立慶州博物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