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先史)/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靑銅器 後期 遺物 (청동기 후기 유물)

鄕香 2007. 6. 22. 16:45

 

2期에는 순수한 한국식 청동기가 제작 사용된 시기로서 청동기의 제작이 증가하여 재질은 백동질(白銅質)인 

점이 특징입니다. 청동기에는 칼날이 직선을 이루며 좁아지는 한국식동검.꺽창.투겁창. 등의 무기류와

잔무늬거울(精文鏡) 을 비롯한 방울 달링 청동기 및 검파형(劍把形).방패형(防牌形).원개형(圓蓋形) 등의

청동기류가 대부분이며 도끼.끌.밀개 등의 공구류도 있습니다.

이 가운데 무기류가 숫적으로 가장 많은데

동검은 한국 청동기문화의 표지적인 유물로서 한반도 청동기문화를 동검문화라고도 합니다.

기원전 4세기 이후에 제작되어 형태가 세부적으로 변화하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거울.곱은옥과 세트(set)를 이루며 출토되는 예가 많고

투겁창.꺽창과 더불어 일본으로 전파되어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립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창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나 형태는 한곡식 동검의 요소가 많이 보여 한국화된 유물입니다.

 방울은 동검과 함께 한국 청동기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 주는 것으로, 1期의 거친무늬에서 발전된 극히 섬세하고 정교한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져 있습니다.

방울류에는 장대투겁과 가지방울이 있으며 그 안에는 구슬이 들어 있습니다.

이밖에 방패형.검파형. 나팔형.견갑형 등의 청동의기가 보이는데 대부분 고리가 달려 있고

독특한 기하학적 무늬에 사슴이나 손 등이 새겨져 있어

주술적인 성격을 띠고 특수한 의식에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도끼나 끌 등은 영암에서 출토된 거푸집에서 볼 수 있듯이 

1期의 형태에 주머니 모양의 둥근 것도 함께 보입니다. 

또한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에서는 한국식 동검과 함께 대롱옥.곱은옥.둥근옥과 작은구슬 등이

출토되는데 목걸이로 사용되었습니다.

대롱옥은 벽옥(碧玉)으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고 원통형에 실을 꿸 수 있도록

장축을 따라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대부분인데 곱은옥과 세트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곱은옥은 천하석으로 만들어 진 것이 대부분이나

고남리(古南里) 조개더미에서는 경옥(硬玉)으로 만든 것도 출토되었습니다. 

형태는 반달형과 콤마형이 있는데 머리 부분에 1~2개의 구멍이 뚫려있습니다.

이러한 대롱옥과 곱은옥은 청동거울이 출토되지 않은 영남지역에서는

널무덤이 만들어지는 시기인 초기 철기시대의 말기가 되면 거의 소멸됩니다.

 

이외에도 조각품으로는 신석기시대부터 개.새.돼지.사람.여인상.신상 등의 흙으로 만든

조각품이 나오기 시작하여 청동기시대에도 보입니다.

이러한 인물상들은 부족의 번창을 도와주는 조상신인 듯 하고

동물조각은 번식을 비는 주술적 존재를 표현한 듯 합니다.

이외의 악기로서는 뼈로 만든 피리가 발견된 바 있습니다.

청동기에서 보이는 의기와 함께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훨씬 폭넓은 예술활동의 흔적이 보입니다.

 

(蓮花里遺蹟)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으로 풍화된 암반을110cm정도 판 뒤 안에 막돌로 네벽을 쌓고 바닥과 뚜껑 돌은

얇은 판돌을 사용하였고, 출토 유물은 古式의 한국식동검.거침무늬거울.天河石製 곱은옥이 잇습니다.기원전4세기경 한국식동검문화가 성립하기 시작하는 단계의 유적입니다.

거친누늬 거울과 천하석제 곱은옥에 요령식 동검문화의 요소가 남아 있습니다. 

 

 

한국식동검.거치친무늬거울.천하석제곱은돌(古式韓國形銅劍.曲玉.粗文鏡)

夫餘蓮花里出土.B.C.4世紀.

 

 

(예산 동서라유적)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으로 표고가 비교적 높은 산 중턱에 있습니다.

출토유물은 한국식동검.청동거울.청동의기.검은간토기.덧띠토기.대롱옥.돌살촉 등이

돌널바닥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처럼 다량의 청동기가 부장된 돌널무덤은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며 연대는 기원전 4~3세기 경으로 추정됩니다.

나팔모양동기는 금강유역의 청동기문화가 요령지방청동기문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나팔모양동기의 손 모양이 주목을 끕니다.  

 

(한국식동검) 禮山 東西里出土.(左)37.2cm

 

 

대쪽모양동기(劍把形銅器).禮山 東西里出土.(左)37.2cm

 

위의 대쪽모양동기(劍把形銅器).문양세부(文樣細部)손 모양.

  

나팔모양동기(喇叭形銅器)禮山 東西里出土.(左)26.0cm

 

나팔모양동기(喇叭形銅器)문양세부(文樣細部)

 

  

 

(부여 합송리유적)

깬돌을 이용하여 무담칸을 만들고 그 위에 돌무지를 쌓은 돌널무덤 계통의 유적이다.

출토 유물은 한국식동검.꺽창.잔무늬거울.동탁.뚜겅모양동기.쇠도끼.쇠끌.유리제대롱옥.검은간토기 등이며

철기가 남한으로 유입되는 과정과 전파로를 알려주는 유적으로 남부지방에서 기원전 2세기 전반에

초기철기시대가 시작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출토 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금강유역의 남양리.소수리유적과 같이

주조된 쇠도끼가 포함된 청동기 일괄 유물을 내는 유적들과 연관되고 있습니다. 

 

 

한국식동검.꺽창.이형동기.거울.뚜껑(韓國式銅거劍.銅戈.異形銅器.銅鏡.圓蓋形銅器)

夫餘 合松里遺蹟.初期鐵期時代

 

 

 

<부여 구봉리유적>

돌널무덤으로 평야를 낀 구릉 비탈에 풍화 암반을 파고 무덤 구덩을 마련한 뒤 판석과 자연석을

사용하여 만들었습니다. 출토 유물은 한국식동검.청동 거울.도끼.꺽창.투겁창.밀개.끌 등 청동 유물과

돌도끼.숫돌.검은 간토기 등이 있습니다. 유물은 실용성이 강하며 검은간토기와 검은 단지가 특이합니다.

기원전 3~2세기 유적으로 충청도지역 돌널무덤의 후기 단계에 속합니다.

 

투겁창.꺽창.(銅矛.銅戈)夫餘 九鳳里遺蹟出土17.7cm 

 

 

 

(방패형동기) 

이 동기는 윗면에 구멍이 3개가 뚫렸는데 끈을 꿰어 닳은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목에다 건祭政이 분리되기 전의 청동기시대에

우두머리나 제사장이 신분을 표식하가나 儀器로서 주술적 의미가 있는 銅器로 생각됩니다.

 

 

방패모양동기. 아산 남성리유적

 

 

조합식쌍두령은

둥굴게 휜 2개의 銅棒을 各한쪽 끝에 방울을 달고 반대편 끝을 끼워 연결된 儀器입니다.

 

 

 조합식쌍두령(組合式雙頭鈴)咸平나산草浦里出土길이15.0cm

 

 

청동방울은 흔들어 소리가 나는 呪術的 儀器입니다.

형태에 따라 八珠鈴.雙頭鈴.組合式雙頭鈴.柄部銅鈴.竿頭鈴 등으로 나누어지며

대부분 十字文.日光文.三角文.集線文 등이 새겨져 있습니다.

 

의기(儀器)팔주령.쌍두령.간두령, (八珠鈴.環狀雙頭鈴·雙頭鈴.竿頭鈴) 傳 논산출토

 

 

八珠鈴은 八角靑銅板 끝에 각각 1개씩의 방울이 달려 있으며 중앙에 1갱,ㅣ 고리가 붙어 있습니다.

앞 표면의 문양은 짧은 線을 조밀하게 陰刻 十字文 또는 放射狀의 日光文을 가운데 두고 가장자리 모양을따라 

짧은 集線을 陰刻하였습니다. 和順大谷里 出土品은 방울에 대칭된 고사리 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단면이 곡선으로 휘어 있습니다. 

 

 

八珠鈴.和順 大谷里出土 지름 13.2cm 

 

 

八珠鈴.和順 大谷里出土(圖面)

 

 

雙頭鈴은 양끝에 방울이 달린 아령모양의 儀器로 연결부 중앙에 방형의 구멍이 있어 자루 끝에 끼우거나 

매달게 되어 있습니다. 방울의 절개구切開口에는 短斜線文 또는 三角文이 배치되어 있으나 

화순 대곡리.함평초포리 출토품에는 문양이 없습니다.  

 

<雙頭鈴>

(上.中)和順 陶谷 大谷里出土 길이13.2cm. (下)咸平 나산 草浦里 길이15.9cm 

 

 

병부동령은 함평 초포리와 慶州 入室里에서 출토된 것이 유일합니다.

형태에 있어서는 꼭지의 유무 병부의 彎曲여부 등에 의한 세부적 차이가 있으나

나무를 꽂아 사용하는 것은 같습니다.

병부동령은 다른 동령류를 제작하는 전통하에서 뒤늦게 출연하였다가 간두령과함께 소멸된 것으로 보입니다. 

 

 

<柄部銅鈴>咸平 草浦里出土.길이17cm

 

 

竿頭鈴은 대체로 1쌍으로 출토되며 포탄형 몸통의 상부를 칸막이로 막아 방울로 사용한 儀器로

약 1/4높이에 전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의 한쪽에 구멍이 있거나 아래쪽에 고리를 마련하여 수실 따위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竿頭鈴>咸平 나산 草浦里出土높이14.5cm

 

 

 

 선사시대의 장신구는 대부분 玉石으로

부위에 따라 머리장식.귀걸이.목걸이.팔찌 등으로 곡옥.관옥.소옥 등의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곡옥은 대부분 귀걸이,관옥은 목걸이로 사용된 경우가 많으며, 이들 옥석제품의 재료로는 

天河石.硬玉.碧玉 등의 초록 내지는 청색의 색조를 가진 단단한 돌들이 이용되었으며

일부 백옥.활석.편암 그리고 수정도 쓰였습니다.  

 

 

꾸밈구슬(天河石製飾玉) 牙山 白岩里遺蹟出土.

 

 

대롱옥꾸밈구슬.돌살촉.(管玉.裝飾玉.磨製石鏃)禮山 東西里遺蹟出土

 

 

대롱옥(管玉) 夫餘 松菊里甕棺墓出土. 

 

 

천하석제식옥(天河石製飾玉). 함평 초포리 출토 길이 3.6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