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걸이(小玉) 천안 청당동 5호 무덤의 나무널 안에서 출토된 것으로, 묘광 어깨선으로부터 약 10cm 정도 아래, 이 무덤에 묻힌 사람의 가슴께에서 허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되어 있었고, 말모양으로 생긴 허리띠고리의 맨 앞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습니다. 금이 얇게 입혀진 유리옥 한 점..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8.01.05
화로모양 토기(爐形土器) 굽이 달린 신선로모양의 토기로 화로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화로모양 토기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릇 안의 항아리처럼 생긴 구멍 위에 뚜껑이 덮여 있는 특이한 형태입니다. 그릇에 달린 굽에는 후기 와질토기인 화로형 토기의 굽과 같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굽구멍이 여덟개 뚫려 있고,..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8.01.04
바리(深鉢形土器) 산화 염소성의 적갈색 연질이며, 소성은 양호합니다. 최대 지름이 몸통 중간 위쪽으로 있고, 약간 축약되었다가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아가리로 이어지고, 입술은 직선입니다. 몸통 바깥 면에는 중간 위쪽 아래로 무질서하게 목리 조정하였으며 그 위는 손가락 끝으로 눌러 마무..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8.01.03
바리(無文土器盌) 춘천 중도 유적의 2호 집터 내에서 출토된 민무늬토기입니다.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와 거의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토기 안팎을 손으로 눌러 형태를 만든 후 표면을 다시 빗질기법으로 정돈하였습니다. 바탕흙에는 모래와 굵은 돌알갱이가 섞여 있으며, 원래 바탕흙에 섞여 ..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8.01.02
원삼국시대 토기.原三國時代 土器 (湖南地方) 호남지방 원삼국시대의 토기는 영남지방의 경우에는 주로 무덤유적에서 출토되는데 비하여 조개무덤유적이나 집터유적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그 양상은 해남 군곡리 조개더미유적에서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크게 경질무문토기와 두드림무늬토기로 분류됩니다. ..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7.10.27
원삼국시대 토기.原三國時代 土器 (中部地方) 2 <中部地方의 原三國時代土器> 한강유역의 춘천 중도, 횡성 둔내, 가평 마장리.이곡리, 하남 미사리, 수원 서둔동, 중원 자동.하천동 (春川 中島,橫成 屯內,加平 馬場里.梨谷里,河南 渼沙里,水原 西屯洞,中原 紙洞.荷川里 )등지의 原三國時代 住居址에서는 外反口緣 平底壺(中島式土器).蓋.盌形 등의..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7.07.27
원삼국시대 토기.原三國時代 土器 (中部地方) 1 <中部地方의 原三國時代土器> 한강유역의 춘천 중도, 횡성 둔내, 가평 마장리.이곡리, 하남 미사리, 수원 서둔동, 중원 자동.하천동 (春川 中島,橫成 屯內,加平 馬場里.梨谷里,河南 渼沙里,水原 西屯洞,中原 紙洞.荷川里 )등지의 原三國時代 住居址에서는 外反口緣 平底壺(中島式土器).蓋.盌形 등의.. 선사(先史)/원삼국 三韓時代(馬韓.辰韓.弁韓 200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