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4구형원사지(密陽市 活城洞 四區瑩源寺址) 출토된 원형의 굽에 기면(器面)을 팔각으로 만든 접시의 바깥 8면에 면에 맞춰 각각 백상감으로 사각형의 창을 마련하고 그 안에 두 송이의 국화무늬를 창 마다 흑백상감으로 시문되어 있는 청자접시입니다.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靑磁象嵌菊花文八角楪匙)
한국-(高麗)《14세기》/ 경상남도 密陽市 活城洞 (四區域) 瑩源寺址 출토 / 도자기-(靑磁) 高 5.9cm, 口徑 12.1cm, / 국립중앙박물관.
2.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5구형원사지(密陽市 活城洞 五區瑩源寺址) 출토된 원형의 기면(器面) 바깥 면에 단선문을 상하로 돌려 구획을 마련하고 그 안에 국화무늬를 사방 위치에 상감하엿습니다.
왼쪽의 접시 안 바닥에 중심에 한송이 국화무늬를 중점으로 두 선문 띠를 돌리고 보상화무늬로 에워싸듯 돌렸습니다. 빗금처럼 곧게 솟은 기벽 네 곳에 국화문을 백상감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오른쪽 접시 안 바닥에는 두 줄로 구성한 원을 팔각을 이룬 보상화무늬가 백상감으로 둘려져 단순하지만 경쾌하고 시원한 느낌을 줍니다.
청자상감국화문접시(靑磁象嵌菊花文楪匙)
한국-(高麗)《14세기》/ 경상남도 密陽市 活城洞 五區瑩源寺址 출토 / 도자기-(靑磁) 高 3.7cm, 口徑 10.9cm, /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高麗時代) > 고려 청자(高麗磁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전′이라 새긴 청자 그릇(靑磁燒錢銘碗) (0) | 2007.12.30 |
---|---|
.고려청자 잔 받침 (高麗靑磁盞臺) (0) | 2007.12.29 |
.청자상감연봉문대접(靑磁象嵌蓮鳳文大楪) (0) | 2007.12.29 |
.청자퇴화점문유병(靑磁堆花點文油甁) (0) | 2007.12.29 |
. 청자 국화 무늬 기름병(靑磁 象嵌銅彩 菊花文 油甁) (0) | 2007.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