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문소(求門沼)를 이룬 황지천의 始源을 찾아 떠나기 전에 아름다운 모습의 당귀를 뒤로 하고 낙동강의 시원 황지로 ...
<황지/黃池>
황지(黃池)
1,300리 낙동강을 이루며 유유히 흘러 남해로 들어가는 黃池의 샘물은 황지 시가지 중심부 번다한 거리 황지3동에 티 없이 맑은 물을 뿜어내고 있었습니다. 둘레가 100m인 윗못(上池)과 50m인 중간 못(中池), 그리고 3개의 작은 못으로 이루어진 아래 못(下池)으로 나뉩니다. 윗못 남측(南側)에 그 깊이를 잴 수 없는 수굴(水窟)이 있어 水源이 됩니다. 하루 솟아나는 물의 양(湧出量)은 가뭄이나 장마에도 변함없이 약 5.000톤이며 물의 온도 또한 15˚c를 유지하는 해발700m 이지역 주민들의 상수도 취수장으로 전국 최적의 오염되지 않은 상수원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古地圖를 비롯하여 동국여지승람, 택리지 등 옛 문헌에 의하면 낙동강의 발원지로서, 옛 신라문화와 가야의 번영을 이룩하며 한민족과 숨결을 함께한 젖줄 낙동강 천삼백리를 지금도 쉼 없이 흘려보내고 있습니다. 또한 "낙동강의 근원으로서 관아에서 祭奠을 두어 가물 때는 기우제를 올렸다."고 동국여지승람은 기록하고 있습니다.
<윗 못(上池)과 중간 못(中池)의 사진>
시가지 한 복판에서 이리도 맑고 맑은 물이 이다지도 많이 솟아오를 수 있는 건지, 신비롭습니다.
중간 못과 아래의 작은 3개의 못의 풍경.
황지못은 다음과 같이 전해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원래 이 못 자리에는 황씨(黃氏) 성을 가진 사람의 집터였답니다. 주인 황씨는 많은 재산에 풍족하게 살았으나 재물에 욕심이 많고 인색하기 짝이 없는 수전노 였습니다. 어느 봄날 황부자는 외양간에서 두엄(쇠똥)을 쳐내고 있었는데 옷차림도 남루한 노승이 시주를 청했습니다. 황부자는 시주하기를 거절했으나 노승은 물러나지 않고 거듭 염불을 외며 시주를 청했답니다. 이에 그만 화가 치민 황부자는 쇠똥을 한 가래 퍼 주었답니다. 이를 본 며느리가 시주를 올리며 용서를 빌자 ,'이 집은 운이 다 했으니 어떠한 일이 있어도 뒤돌아보지 말고 따라오라는 말에 며느리는 아기를 업고 노승을 따라가다가 뇌성벽력이 치는 소리에 깜짝 놀라 노승의 당부를 잊은 채 뒤돌아보는 순간 아기를 업은 채 돌이 되었고 집터는 연못으로 변해 버렸다고 합니다. 黃池라는 지명의 유래도 뇌성벽력과 함께 황부자집 옛 터가 연못으로 변했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전설 따라 삼천리'에서도 소개된 적이 있었지만 이와 같은 전설이 얼긴 못이 여러 곳에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연못에 대한 전설의 단골레퍼토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고맙습니다.
2013년 7월18일 <鄕香>
'◈ 세월에 그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종주남한강자전거길(양평~이포보~여주보~ 강천보) (0) | 2013.09.16 |
---|---|
한강 시원 검룡소(漢江 始源 儉龍沼) (0) | 2013.09.10 |
구문소 (求門沼) (0) | 2013.09.08 |
흥인학교와 흥인지문(興仁之門) (0) | 2013.09.08 |
태백고원자연휴양림 (0) | 201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