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민왕 (恭愍王)>
< 31代 恭愍王1330(충숙왕 17)∼1374(공민왕 23)> 재위 1351~1374.
이름은 전, 초명은 기(祺), 몽고식 이름은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호는 이재(怡齋), 익당(益堂). 충숙왕과 명덕태후 홍씨(明德太后洪氏)사이의 둘째아들이다. 비는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이며, 그밖에 혜비이씨(惠妃李氏), 익비한씨(益妃韓氏), 정비안씨(定妃安氏), 신비염씨(愼妃廉氏)가 있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하여졌으며, 1341년 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1344년 충목왕 즉위년에 강릉부원대군에 봉하여졌다.
1349년 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를 왕비로 맞이한 2년 뒤, 원나라가 나이 어리고 외척의 전횡으로 국정을 문란하게 한 충정왕을 폐위시키고 그의 뒤를 잇게 함으로써, 공주와 함께 귀국하여 왕위에 올랐다.
14세기 후반, 원나라와 명나라가 교체되는 대륙정세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고려의 중흥을 꾀하여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으로 원나라에 반대하는 정책을 펴 몽고적 잔재를 제거하고, 잃어버린 국토 회복을 위한 북진정책을 실시하였으며, 대내적으로는 고려왕실을 허약하게 만든 친원파를 제거하고, 국가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하여 일곱 차례에 걸친 제도 개혁을 실시하였다.
즉, 원나라가 쇠퇴해지자 원나라 배척운동을 일으키고, 1352년 변발·몽고식 의복 등의 몽고풍속을 폐지하였으며, 1356년 몽고의 연호·관제를 폐지하여 문종 때의 제도를 복구하는 한편, 내정을 간섭하던 원나라의 정동행중서성이문소(征東行中書省理問所)를 폐지하고, 원나라의 황실과 인척관계를 맺고 권세를 부리던 기철일파(奇轍一派)를 숙청하였으며, 100년간이나 존속해온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폐지하고 원나라에게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였다.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자, 이인임(李仁任)을 보내어 명나라와 협력하여 요동(遼東)에 남아 있는 원나라의 세력을 공략하였으며, 2년 뒤 이성계로 하여금 동녕부(東寧府)를 치게 하여 오로산성(五老山城)을 점령, 국위를 떨쳤다.
그리고 내정에 있어서는 1352년 그동안 인사행정에 폐단이 많았던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하여 귀족들이 겸병한 토지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환원시키는 한편,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을 해방시키는 등의 개혁정치를 베풀었다. 그러나 홍건적 및 왜구의 잦은 침입과, 1363년 찬성사 김용(金鏞)의 반란, 1364년 충선왕의 셋째아들 덕흥군(德興君)옹립을 내세운 친원파 최유(崔濡)의 반란 등으로 국력이 크게 소모되기도 하였다.
더구나, 1365년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왕은 실의에 빠져, 모든 국사를 신돈(辛旽)에게 맡기고 불공에만 전심하였다.
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신돈은 실정을 거듭하고 왕을 해치려 하므로, 그를 수원으로 귀양보낸 뒤 처형하였다.
그뒤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1373년 모니노(牟尼奴)에게 우(禑)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하였다. 그런데 자제위 소속 홍륜(洪倫)이 익비를 범하여 임신시키자, 그것을 은폐할 의도로 홍륜과 밀고자인 환관 최만생(崔萬生) 등을 죽이려다가 도리어 그들에게 살해되었다.
공민왕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 고려의 대표적인 화가로 꼽히기도 한다. 작품으로는 〈천산대렵도 天山大獵圖〉가 있다.
능은 현릉(玄陵)으로 경기도 개풍군 중서면에 있다.
공민왕(1330~1374)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이 초상화는 머리에 두건을 쓰고 오른쪽을 바라보는 모습으로 안면은 회색빛을 띠며, 눈썹과 모발, 수염은 흑·백의 가는 선을 이용하여 묘사하였습니다. 눈시울은 붉은색으로 명암을 넣었고, 눈꺼풀은 가는 먹선으로 처리한 후 속눈썹을 일일이 그렸으며, 단정하고 온화한 품성이 잘 나타나며 세밀하고 참신한 화풍이 풍기는 맛이 뛰어납니다. 옷은 연보라색 바탕에 보라색 선으로 덩굴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이 초상화는 공민왕이 친히 그려 주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염제신(廉悌臣1304∼1382)>은 어릴적부터 원나라에서 살아 원나라 황제의 총애를 받기도 하였으며 고려에 돌아와 여러 왕들의 신임을 받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까지 올랐던 인물입니다
전 공민왕 필 염제신 상(傳恭愍王筆廉悌臣像) 보물(寶物1097號)
고려(高麗)《14世紀》絹本彩色 53.8×42.1cm / 坡州 廉氏門中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옛 인물초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순신 초상(李舜臣肖像) (0) | 2008.09.28 |
---|---|
이규상 초상 (0) | 2008.06.01 |
김이안 초상(金履安肖像) (0) | 2008.05.01 |
순암 오재순 초상 (醇庵 吳載純 肖像 ) (0) | 2007.05.25 |
완당 김정희 초상 (阮堂 金正喜 肖像 ) (0) | 200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