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는 "왕희지의 글씨는 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문필들로 인해 변질 됐으니 차라리 왕희지 이전의 글씨로 돌아가자"고 주창했습니다. 이 글씨는 추사의 글씨로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유애도서겸고기 차종문자입보리 / 唯愛圖書兼古器 且從文字入菩提 』
" 오직 도서와 옛 그릇을 사랑하고 문자를 따르니 보리에 들었다." 이 글에서의 보리(菩提)의 뜻은 깨달음 궁극의 경지에 도달함을 의미합니다. 본시 '보리'란, 올바른 깨달음으로 모든 것의 참된 모습을 깨닫는, 부처의 지혜를 뜻하며, 산스크리트 어 ‘Bodhi’의 한자 음역어입니다.
「 唯愛圖書兼古器 且從文字入菩提 」
추사 김정희 필 예서체(秋史金正喜筆隸書體)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서책 (文.書.帖.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교 이광사 선생이 쓴 오언시 (0) | 2012.08.11 |
---|---|
사궤장겸기로회지도(賜几杖兼耆老會之圖) (0) | 2011.12.22 |
동춘송준길필서첩/해서논어제12안연(同春宋浚吉筆書帖/楷書 論語第十二'顔淵') (0) | 2011.12.21 |
우암 송시열 필 해서(尤庵 宋時烈筆楷書/海東乾坤尊周大義) (0) | 2011.12.21 |
석봉 한호 필 행서 오행시(石峯韓濩筆五行書/東方虯 '昭君怒') (0) | 201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