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업(張承業1843 ~ 1897)의 본관은 대원(大元). 자는 경유(景猷), 호는 오원(吾園)·취명거사(醉瞑居士)·문수산인(文峀山人)입니다.
선세(先世)가 무반(武班)이었으나 어려서 머슴살이를 했다고 하며, 서울에 정착한 후 수표교에 살던 이응헌(李應憲) 또는 역관 출신의
변원규(卞元奎)로 알려진 사람의 집에 기식하게 되면서 어깨너머로 글공부와 원(元)·명(明) 이래의 명적들을 접하고 스스로 익혀
어느날 문득 화리(畵理)를 터득하고 그림을 능숙하게 그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의 화명은 날로 높아져 왕실에서는 그를 대령화원(待令畵員)으로 불러들여 그림병풍을 제작하게 했으며,
이때 감찰이라는 정6품 관직을 임시로 제수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술과 여자를 몹시 좋아했고, 특히 어떤것에도 얽매이기를 싫어하는
성격 때문에 궁궐에서 3번씩이나 도망친 일화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의 화가로서 그만큼 뛰어난 技法의 소유자는 찾아 볼 수 없고 그처럼 넓은 장르에 걸쳐 기법을 구사한 천재는 찾아 볼 수 없습니다. 六堂 崔南善은 그의 「自助論」에서 "장승업은 중폐(重幣)의 유혹(誘或)에도 남작(濫作)을 피하고, 권세의 억압(抑壓)에도 淸操를 지켜 그의 예술眼에는 王者와 富豪가 다 없었다. 세속 사람들은 그의 심한 우소성(迂疎性)을 가련히 여겼으나 그 예술상의 불우(不朽)한 업적은 이 고결한 지조의 결과였다. 관운장(關雲長)의 죽(竹)이천고(千古)에 독수(獨秀)함은 그 름름(凜凜)한 고의(高義)가 호단(毫端)에 약동(躍動)하기 때문이요. 방효유(方孝儒)의 松.竹.石이 우주간에 불마(不磨)함은 그 정정(亭亭)한 경절(勁節)이 지면에 활현(活現)하기 때문이다.」(下略) 라고 오원의 인물됨을 높이 격찬하였습니다.
이 《雄視八荒圖》는 그의 局外者로서의 豪雄한 기질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 어느 것도 침범할 수 없는 자기의 영역을 하늘 가까이서 雄視하는 豪鷲의 기상이야말로 작가 자신의 孤高하고 강인한 내면세계를 잘 반영한 작품입니다.
오원 장승업 필 웅시팔황도(吾園張承業筆雄視八荒圖)
朝鮮時代 / 張承業(1843~1897)/絹本淡彩39.8×141.8cm /湖巖컬렉션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원 장승업 필 산수도쌍폭(吾園張承業筆山水圖雙幅) (0) | 2011.03.17 |
---|---|
오원 장승업 필 고사세동도(吾園張承業筆高士洗桐圖) (0) | 2011.03.17 |
석창 홍세섭 필 영모도(石窓洪世燮筆翎毛圖) (0) | 2011.03.16 |
고람 전기 필 계산포무도(古藍 田琪筆溪山苞茂圖) (0) | 2011.03.16 |
운초 박기준 필 영모도(雲樵朴基駿筆翎毛圖) (0) | 201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