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업(張承業1843 ~ 1897)의 본관은 대원(大元). 자는 경유(景猷), 호는 오원(吾園)·취명거사(醉瞑居士)·문수산인(文峀山人)입니다.
선세(先世)가 무반(武班)이었으나 어려서 머슴살이를 했다고 하며, 서울에 정착한 후 수표교에 살던 이응헌(李應憲) 또는 역관 출신의
변원규(卞元奎)로 알려진 사람의 집에 기식하게 되면서 어깨너머로 글공부와 원(元)·명(明) 이래의 명적들을 접하고 스스로 익혀
어느날 문득 화리(畵理)를 터득하고 그림을 능숙하게 그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의 화명은 날로 높아져 왕실에서는 그를 대령화원(待令畵員)으로 불러들여 그림병풍을 제작하게 했으며, 이때 감찰이라는 정6품 관직을 임시로 제수받기도 했습니다.
오원은 김홍도 이후 차츰 기백이 없어져가는 한국화단에 중국의 기풍을 대담하게 되살렸습니다. 즉 돌이나 물결(石濤) 類의 파묵법(破墨法)과팔대산인(八大山人)의 백묘화법(白描畵法)을 터득하여 남화계(南畵系) 작품을 그렸고, 아울러 문인화 계통에서는 운남전(惲南田)몰골법(沒骨法)과 부채(賦彩)의 정신을 받아들였습니다. 이처럼 중국화의 영향을 받는 것은 한국회화 전부에 적용되는 일입니다. 멀리는조선조 초기의 안견 이상좌에서부터가까이는 심사정에 이르기까지 제일의 예술가들이 중국畵派 테두리 안에서 예술가로 굳어갔습니다.
오원의 산수화들이 중국적인 예술유형의 카테고리 안에 있다고 해서 조금도 수치로운 일이 아닙니다. 다만 문제는 그 중국화의 추종에 끝까지 있지 않고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한국적인 미의 세계로 옮겨졌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입니다. 아무튼 오원은 저물어가는 조선조 말기를 황홀하게 장식하였던 하나의 전형으로서 한국근대미술사라는 수평 위에 우뚝 솟아있는 것입니다.
오원 장승업 필 산수도쌍폭(吾園張承業筆山水圖雙幅)
朝鮮時代 / 張承業(1843~1897)/紙本淡彩33.7×132.2cm /湖巖컬렉션 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원 장승업 필 영모도10폭병(吾園張承業筆翎毛圖十幅屛) 1. (0) | 2011.03.17 |
---|---|
오원 장승업 필 호응도(吾園張承業筆豪鷹圖) (0) | 2011.03.17 |
오원 장승업 필 고사세동도(吾園張承業筆高士洗桐圖) (0) | 2011.03.17 |
오원 장승업 필 웅시팔황도(吾園張承業筆雄視八荒圖) (0) | 2011.03.17 |
석창 홍세섭 필 영모도(石窓洪世燮筆翎毛圖) (0) | 201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