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李 霆1541~1622)의 본관은 全州이고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이며 세종世宗의 현손(玄孫)으로 석양정(石陽正)을 제수받았습니다.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던 인물로 임진왜란 때에 왜적에게 오른팔이 상하여 왼팔로 그렸으나 화격(畵格)이 오히려 높아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묵죽(墨竹)에 있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화가로 주목됩니다.
이 《墨竹圖》는 팔곡병풍(八曲屛風) 중의 한 폭(幅)으로 灘隱의 이제껏 널리 알려진 風竹畵와 雪竹畵에서 보인 휘청거리는 가느다란 죽간(竹幹)이 아니라, 매우 굵은 통죽(筒竹) 등걸을 호쾌하게 그린 작품으로서 전례(前例) 없던 새로운 작품입니다. 墨色의 농담(濃淡)을 짙게 하여 입체적인 생동력을 박력 있게 표현했으며 岩石에 뿌리박고 곧게 뻗은 통죽의 등걸은 종실가문(宗室家門)의 기품(氣稟)과 정조(情操)가 서려 있습니다. 대잎(竹葉) 끝이 꺽이어 보이는 技法이라든가 대나무를 떠받치고 있는 암석의 준법(皴法)은 그의 묵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지만 다른 그림에 비해서 대나무의 잎이 몽탁하고도 힘있는 표현을 보인 것은 그림의 구도상(構圖上) 굵고 힘이 생동하는 대나무 줄기 등걸에 조화(調和)시키려는 畵意 때문인 것 같습니다.
탄은 이정 필 묵죽도(灘隱 李霆 筆 墨竹圖)
朝鮮時代 / 이정(李霆, 1541-1622) / 사직(絲織)-견(絹) 《비단 위에 먹》69.8×148.8cm / 國立中央博物館所藏
'조선시대(朝鮮時代) > 조선 회화(繪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옹 이정 필 산수화첩 내 수향귀주도(懶翁李楨筆樓閣山水畵帖)水鄕歸舟圖 (0) | 2011.03.02 |
---|---|
나옹 이정 필 산수화첩 내 누각산수도(懶翁李楨筆樓閣山水圖) (0) | 2011.03.02 |
탄은 이정 필 대나무 청죽.운죽(灘隱 李霆 筆 墨竹圖屛 . 晴竹 . 雲竹) (0) | 2011.03.02 |
사임당 신씨 필 초충도(師任堂申夫人筆草虫圖) 2 (0) | 2011.02.28 |
사임당 신씨 필 초충도(師任堂申夫人筆草蟲圖) (0) | 2011.02.24 |